지난 11월 2일 세종대학교 대양AI센터에서 개최된 2024 심장대사증후군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jw중외제약이 이상지질혈증 복합제 '리바로젯(피타바스타틴+에제티미브)'의 임상적 효용성과 관련한 런천심포지엄을 개최해 의료계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번 심포지움은 을지의대 내분비내과 이문규 교수와 광주보훈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권주성 교수와 부천세종병원 내분비내과 정수진 교수가 연자로 나서 임상 근거를 중심으로 리바로젯의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과 관련해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심포지움에서는 심혈관 질환 예방 및 당뇨병 발생과 관련한 리바로, 리바로젯의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내용이 공유되었다. 본지에서는 이번 심포지움에서 발표된 핵심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권주성 교수, 심혈관 질환 예방효과와 지질강화 효과에 있어 ‘리바로젯’ 최적의 선택지 기대

# LDL-C ↓, 심혈관 질환 예방효과 Up

 LDL-C와 심혈관 질환 예방효과의 연관성을 살펴봤을 때  LDL-C을 낮추면 낮출수록 심혈관질환 예방효과가 더 커지는 것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계속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이러한 임상 연구를 통해 1차 치료제로 스타틴이 사용되고 있는데, 스타틴 투여에 있어 동양인의 경우 서양인 대비 적은 용량으로도 목표한 LDL-C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아시아인에 최적화된 중등도 스타틴 ‘리바로’ 심혈관 질환 예방효과 입증

아시아인의 경우 굳이 근육통, 간기능 저하, 당뇨병 발병 위험 등 부작용 위험을 무릅쓰고 고강도 스타틴을 처방할 필요없이 중등도 스타틴을 처방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중등도 스타틴으로 분류된 리바로는 대규모 아시아 심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2차 예방군을 대상으로 진행된 REAL-CAD 임상을 통해 지질강하효과와 심혈관질환 예방효과를 입증하였으며, 리바로 고용량(4mg)과 저용량(1mg)을 비교한 임상연구에서 용량의존적인 당뇨병 발생 증가가 유의하지 않다는 점에서 타 스타틴과의 차별성을 입증했다. 

또한 REPRIEVE 임상을 통해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환자에서의 심혈관 질환 발생 감소와 함께 특별히 다른 인종 대비 아시아인에서 예방효과가 더 높게 나타난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 ‘리바로젯’ LDL-C 50% 이상 강하효과 입증

리바로 단일제제만으로 지질 저하가 불충분한 고위험군의 경우 다른 옵션이 필요한데 리바로에 에제티미브를 추가한 복합제인 리바로젯이 우선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고용량 스타틴 단일요법 대비 에제티미브와 결합한 복합제를 쓰는 것이 적은 용량에도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리바로젯 사용시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LDL-C 목표수치 도달률이 상당히 개선되었으며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LDL-C를 50% 이상 낮춘 것으로 확인됐다는 점에서 리바로젯이 대부분의 이상지질혈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수진 과장, 당뇨병 전단계, 당뇨 환자에서 ‘리바로’ 타 스타틴과 차별화된 혈당 안전성 입증 

# 당뇨병 전단계 심혈관 질환 관리 선택이 아닌 ‘필수’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2022년 당뇨병 Fact sheet에 따르면 3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 65세 이상 노인 환자 2명 중 1명이 당뇨병 전단계로 추정되며 유병률은 계속해서 증가 추세이다. 이러한 당뇨병 전단계 환자들은 50%가 이상지질혈증을 동반하고 있으며 정상환자보다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 ‘리바로’ 당뇨에 안전한 유일한 스타틴 제제

스타틴에 의한 당뇨병 발생위험(NODM)은 다양한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당뇨병 전단계 환자의 경우 스타틴 투약에 의한 당뇨병 발생위험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당뇨병 전단계 환자뿐 아니라 당화혈색소(HbA1c)가 정상인 환자에서도 심혈관사건 발생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서 스타틴에 의한 혈당상승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리바로는 현재 혈당에 안전한 유일한 스타틴이다. 출시 이후 혈당에 안전한 근거들이 누적되고 있는데다 HbA1c가 정상인 스타틴을 처음 복용하는 한국인 환자 1,400만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대규모 연구에서 NODM 발생과 관련해 타스타틴 대비 안전성이 입증된 바 있다. 아울러 리바로는 영국을 시작으로 현재 전 세계 32개국 의약품설명서(SmPC)에 당뇨병에 대한 부작용이 없다고 명시된 유일한 제품이다.

# ‘리바로’ 타 스타틴과 차별화된 FPG, HbA1c 감소효과 주목

리바로의 탁월한 혈당 안전성은 당뇨병을 동반한 이상지질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에서도 나타났다. 지난해 3월 Yonsei Medical Journal에 게제된 SCEAD 연구에 따르면 리바로는 대상 환자들의 LDL-C 감소효과에 있어서는 아토바스타틴이나 로수바스타틴과 큰 차이가 없이 유사하게 나타난데 반해 공복혈당(FPG)과 HbA1c를 오히려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혈당 감소효과를 통해 리바로는 다른 스타틴과 차별화된 혈당 안전성을 가진 최적의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