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노병철 기자] 보건복지부가 내년 7월을 목표로 제네릭 산정가를 현행 53.55% 대비 40% 수준으로 인하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동일 성분 의약품을 하나의 가격으로 묶는 ‘동일성분·동일가격’ 체계가 적용될 경우, 제네릭 시장 전체의 가격 구조가 사실상 재편될 전망이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17일 주요 제약사들과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정부 연구용역 결과를 공유했다. 연구용역에서는 제네릭 약가를 한 번에 낮추기보다는 수년에 걸친 단계적 인하가 시장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의견을 담은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용역은 또, 동일성분·동일가격 체계 적용 시점과 방법에 따라 기업별 영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지적했다. 단계적 인하를 통해 초기 충격을 완화하고, R&D 투자 우수기업에는 인하 폭을 줄이는 방식으로 시장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책이 시행되면 제약업계 전체 연간 매출 감소는 약 1.7~2.3조원 수준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제네릭 중심의 매출 구조를 가진 기업이 적지 않아, 업계 전반에 걸쳐 직격탄이 예상된다. 제네릭 시장 규모가 연 8~9조원 수준임을 고려하면, 53.55% 대비 40% 인하가 현실화될 경우 나타나는 감소 폭이라는 해석이다.

다만 모든 기업이 동일한 인하 폭을 적용받는 것은 아니다. 정부는 매출 대비 8~10%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입하는 ‘연구개발 우수기업’에 대해 인하 폭을 완화하거나 적용 시점을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혁신 역량을 갖춘 기업이 가격 인하로 인해 과도한 타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정책적 장치로 풀이된다.

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오는 28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 안건으로 올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정심 논의를 거쳐 △인하 폭 △적용 시점 △보완 대책 △우수기업 차등 기준 등이 구체화될 전망이다.

업계는 세부 기준과 시행 시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이번 제도는 단순한 약가 인하가 아니라 시장 구조 전체를 흔드는 정책 변화”라며 “기업별 제품 포트폴리오에 따라 충격의 편차가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