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 하영환 상근이사]

약국가의 불용재고의약품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의약분업과 함께 시작된 고질적인 문제다. 약국가는 불용재고약 문제 때문에 약국경영이 어렵다는 하소연이다. 소위 앞으로 남고 뒤로 손해 본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로 인해 약국가는 불용재고의약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서는 성분명 처방이 시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대한약사회 하영환 이사는 불용재고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분명 처방도 하나의 해결방안이겠지만 리베이트가 근절돼야만 불용재고약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 이사는 “제약사들이 의원들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하면서 많은 약이 처방됐고 이것이 불용재고의약품 문제가 되고 있다”며 “의원들에 대한 리베이트가 근절돼야 처방되는 약품 수가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약사들의 리베이트 문제해결이 불용재고의약품 문제 해결의 근간이 된다는 것이다. 이번 대한약사회 반품 사업이 회원들의 협조가 이뤄진다면 모든 약국들이 정산을 받을 수 있다며 무엇보다 회원들의 협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하 이사. 그를 만나 보았다.
제약사 협조가 반품사업 성공의 근본
대한약사회는 불용재고의약품을 준비하면서 176개 제약사에 협조공문을 발송했다.
이 중 172개의 제약사에서 대표이사 직인이 찍힌 협조공문을 보내왔다. 2개 제약사는 구두로 협조에 대한 약속을 한 상황이며 로슈와 한국BMS가 협조가 어렵다는 답변을 보내왔다.
대한약사회가 제약사들에게 협조공문을 받은 것과 관련, 일선에서는 약국들이 도매와 거래를 하는데 제약사에게 협조공문을 받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하영환 상근이사는 “제약사의 협조가 가능해야 도매를 통한 반품도 순조롭다”며 “도매에서 반품을 받아도 제약사에서 반품이 어렵다고 하면 반품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약국가에서 제약사를 통한 직거래 비중은 20%정도이며 나머지 80%가 도매를 통해 거래되고 있다. 도매에 대한 거래 비율이 많아도 모두 제약사에 반품되기 때문에 원활한 반품을 위해서는 제약사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하영환 이사는 “최근 열린 지부 약국위원장 회의서도 제약사와 직거래를 하고 있는 20%의 약국들은 반품이 모두 다 잘되고 있다고 보고됐다”며 “80%의 도매상 거래에서도 순조롭게 반품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하는 분위기를 만들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하영환 이사는 반품에 협조적인 제약사와 도매상에 대한 회원들의 결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품에 비협조적인 제약사와 도매상은 거래하지 않겠다는 회원들 사이에서의 인식이 있어야만 반품이 제대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하 이사는 “불용재고의약품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회원들의 인식이 확실해야 한다”며 “도매상과 제약사들의 협력여부에 따라 거래처를 구분하는 회원들의 판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품이 제대로 진행되는 제약사와 도매상에 대해 대한약사회가 정보를 제공하고 이들에 대한 거래 여부를 회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반품 정산은 시도지부가 동일비율로 결정
대한약사회의 불용재고의약품 반품사업은 이미 시작됐다.
대한약사회에 신상신고를 한 회원들에게 ‘개봉의약품 반품목록입력프로그램’을 배포하고 반품이 필요한 의약품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오는 12월말까지 입력을 마감하고 오는 1월초까지 반품을 수거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번 대한약사회의 반품사업에서는 대약과 지부, 회원들의 역할을 구분했다. 대한약사회는 반품협조 제약회사를 최대한 확대하는데 역량을 집중한다. 각 지부와 분회는 지부별 반품협의체를 구성하여 수거시기 및 정산방법과 시기 등을 협의하여 반품 사업을 각 약국별로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