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박지호 대표원장
사진. 박지호 대표원장

임플란트는 200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대중화된 시술이다. 하지만 임플란트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합병증도 함께 늘고 있다. 주로 임플란트가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했을 때 염증, 파절 등의 문제로 이어져 재식립을 하게 되는데, 과연 그 원인은 무엇일까.

임플란트 주요 실패 원인은 임플란트를 지탱할 충분한 뼈가 없는 경우이다. 초기 실패는 주로 수술 직후에 발생하며, 잇몸뼈와 임플란트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해 실패로 이어지게 된다. 또 다른 원인은 임플란트 주위염이다. 주위염은 임플란트를 둘러싼 조직에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소홀한 관리가 원인일 수 있다. 주위염이 심각해지면 뼈 손실이 커져 초기 식립보다 훨씬 복잡하고 어려운 재수술이 필요하다.

또 다른 원인은 임플란트의 파절이 있다. 임플란트의 경우 수직적으로 씹는 힘에는 강하지만 가로로 씹는 힘에는 약하기 때문에, 이를 꽉 무는 습관이 있거나 이갈이 등의 힘이 누적되면 파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고 재식립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임플란트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적절한 구강 습관을 교정하는 게 중요하다. 또한 식립 후에는 올바른 칫솔질과 치실 사용으로 구강 위생을 철저히 해 감염을 예방하는 게 필수적이다. 만약 임플란트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된다면, 즉시 치과 전문의와 상담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게 좋다. 임플란트의 경우 장착된 보철물도 수명이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 시에 교체해주는 게 중요하다. 이런 관리 방법을 통해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높이고 재식립이나 재수술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

: 로이스치과의원 여수점 박지호 대표원장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