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김정득 원장

봄이 오면서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시기다. 건강을 위해 운동을 시작하지만, 갑자기 무리한 운동을 하면 근골격계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겨울철 낮은 기온에 적응된 관절의 인대와 근육은 수축되고 유연성이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 관절을 지지하는 조직이 약해지고 통증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에서 무리한 운동을 하다 보면 인대 손상 등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등산이나 축구, 농구, 러닝 등 스포츠를 시작할 경우 무릎 통증에 유의해야 한다. 인대나 근육이 약화된 상태에서 갑자기 심한 충격이나 과도한 자극이 이어지면 무릎 연골이 손상되기 쉽다. 특히 무릎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람은 일교차가 크고 날씨 변화가 잦은 시기에 갑자기 활동량이 증가하면 통증이 악화될 수 있다.

만성적인 어깨 통증이 있다면 오십견, 회전근개 손상, 석회화건염 등 원인을 정확히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와 함께 회복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해야 한다. 또한 봄철에는 목 주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다. 겨우내 추위로 인해 움츠린 자세로 긴 실내 생활을 지속하면서 거북목 증후군이나 목 디스크가 악화되어 목 주변과 어깨뼈, 등 부위의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흔하다.

팔꿈치 통증이 있다면 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와 같은 질환에 주의해야 한다. 손목과 팔꿈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서 힘줄이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팔꿈치 바깥쪽이나 안쪽에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한다. 다만 스포츠 활동을 즐기지 않더라도 손목과 팔꿈치를 무리하게 사용하는 주부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운동을 하다가 오히려 통증이 심해지면 활동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 통증이 있는 상태라면 적절한 치료를 받은 뒤 운동을 시도해야 한다.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수 주 이상 지속될 경우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허리나 목, 관절 통증 질환의 초기 단계에는 약물 치료나 물리 치료, 주사 요법 등 비수술적인 치료를 통해 충분히 호전될 수 있다.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통증 부위 주변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면 운동 범위가 넓어지고 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 많이 활용되는 근골격계 통증의 비수술적 치료법으로는 체외충격파, 인대강화주사, 핌스요법 등이 있다. 인대강화주사는 프롤로테라피라고 불리며, 약해진 인대와 같은 조직의 자가 재생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이다. 핌스(FIMS, 기능적 근육 내 자극 치료) 치료는 특수 바늘로 힘줄이나 인대의 손상 부위나 신경 유착이 발생한 부위를 자극해 통증 개선을 돕는다.

핌스요법과 인대강화주사가 결합된 PIMS 주사는 복합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약물을 사용하고 반복적인 치료가 가능해 노인이나 만성질환자도 부담 없이 치료받을 수 있다.

글. 대구 우리들의신경외과 김정득 원장(신경외과 전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