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노재문 원장
사진. 노재문 원장

팔꿈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한 영향도 있지만, 장시간 반복적인 팔 사용이 필수적인 직업군에서도 팔꿈치 질환이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테니스엘보(외측상과염)와 골프엘보(내측상과염)다. 두 질환 모두 팔꿈치 힘줄에 미세한 손상이 쌓이면서 발생하지만, 통증의 부위와 기전에는 차이가 있다.

테니스엘보는 팔꿈치 바깥쪽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반복적인 손목 사용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라켓을 사용하는 스포츠 선수뿐만 아니라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직업군, 키보드와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는 직장인들에게도 흔하게 나타난다. 초기에는 팔꿈치 바깥쪽에 불편함이 느껴지는 정도지만, 점차 물건을 쥐거나 손목을 움직일 때 날카로운 통증이 동반된다. 심해지면 단순한 악력 저하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컵을 드는 동작조차 어려워질 수 있다.

반면, 골프엘보는 팔꿈치 안쪽 힘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손목을 안쪽으로 굽히거나 반복적으로 비트는 동작이 많을수록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골프처럼 팔꿈치를 고정한 채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근력을 사용하는 직업군에서도 흔하다. 증상이 진행될수록 손가락 저림이 동반되기도 하며, 악력이 떨어지고 팔꿈치 안쪽을 누르면 극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두 질환은 기본적으로 반복적인 동작이 누적되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평소 손목과 팔꿈치를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운동 전후로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손목과 팔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병행하면 손상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두 질환이 발생하는 기전은 차이가 있지만, 치료 방법이나 예후적인 측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기본적으로 힘줄 염증에 준하는 치료를 진행하며, 염증이 심하게 나타나는 초기에는 주사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이후에는 체외충격파나 물리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가 도움이 된다.

팔꿈치 힘줄 손상으로 인한 통증은 초기에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만성화될 가능성이 높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을줄 정도라면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글. 서울노마취통증의학과 노재문 원장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