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신체는 자연스럽게 퇴행성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변화는 신체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특히 무릎 관절은 비교적 빠르게 노화가 시작되어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인구 중 약 80%가 무릎에 퇴행성관절염을 앓고 있다고 한다.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해 거동이 불편해지고 무릎 통증에 시달리는 노인들은 우울감이나 무력감에 빠져 삶의 질이 하락되기 쉽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은 뼈를 보호하는 무릎연골이 점차 손실되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통증이 경미한 편이지만 증상이 심해질수록 통증도 악화되며 부종이 생기거나 다리의 모양이 변형되기도 한다. 이 질환은 수술 외에도 다양한 치료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며, 질환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면 증상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치료 반응은 개인별로 다를 수 있다.
질환 초기의 환자는 약물 복용 및 주사 요법 등으로 통증과 염증을 억제하고 무릎 구조물을 강화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BMAC) 치료도 고려될 수 있다. 이 치료는 환자의 장골능에서 채취한 자가 골수를 원심 분리하고 농축된 골수 줄기세포를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일부 연구에서 연골 조직 재생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이 중기를 넘어 말기로 진행될수록 무릎연골의 손상이 악화되어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는 호전이 어려워진다. 이런 경우 미세천공술이나 줄기세포 카티스템과 같은 무릎연골을 재생시키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특히 줄기세포 카티스템 수술은 무릎연골 병변 부위에 구멍을 여러 개 뚫은 후 카티스템을 주입하는 방식이다. 일부 임상 연구에서 연골 재생 효과가 보고되었으나, 환자의 상태와 치료 반응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무릎연골의 대부분이 손실되고 뼈 손상까지 진행된 퇴행성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인공관절 삽입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무릎에 무리가 가는 동작 및 자세를 제한하고, 다리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글.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