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우정민 기자] 봄이 다가오면서 눈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매년 봄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황사와 미세먼지, 꽃가루 등은 안구건조증과 알레르기 결막염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대표적인 봄철 안질환 중 하나인 알레르기 결막염은 황사와 미세먼지, 꽃가루 등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눈의 결막에 닿으면 면역 반응이 일어나 눈이 충혈되고 눈꺼풀이 붓는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가려움과 화끈거림을 동반하기도 한다.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은 유발 물질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알레르기 비염 등 다른 전신 반응이 동반될 경우 함께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대인들에게 흔한 안구건조증도 봄철이 되면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건조한 대기 탓에 눈물의 증발 속도가 빨라지면서 증상이 심화되기 때문이다. 인공눈물을 사용해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건조증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눈물막 검사와 마이봄샘 검사 등 정밀 검사를 통해 원인을 진단한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알레르기 결막염 환자 중 안구건조증을 함께 겪는 사례가 적지 않아 두 질환을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증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명확히 진단받은 후 체계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샤일리안과 최다예 원장은 “봄철에는 미세먼지와 황사가 심한 날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책이다”라며 “알레르기 결막염이나 안구건조증 증상이 나타나면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 착용을 권장하고, 적절한 안약 사용으로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적절한 안과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래야만 증상 악화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