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발목을 삐었다고 표현하는 발목 염좌는 일상 속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다. 발목 염좌란 발목 주변에 있는 인대가 파열되거나 염증이 생기는 등의 손상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보통 굽이 높은 신발을 신다가 발목을 삐거나 지면의 높낮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걷다 발목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혹은 무리하게 운동하다가 발목에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처럼 여러 원인으로 발목 염좌가 발생했다면, 즉시 병원에서 상태를 확인한 후 치료하는 것이 좋다. 발목 염좌는 증상에 따라 3단계로 분류하며, 1도 염좌는 증상이 경미한 수준으로 통증과 부종, 관절 경직은 있으나 정상 보행이 가능하다.
2도 염좌는 발목 인대의 일부가 찢어져 심한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며, 보행도 어려워질 수 있다. 3도 염좌는 인대 조직이 완전히 끊어진 상태로, 심한 통증과 부종으로 인해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해진 수준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2도, 3도 발목 염좌는 통증도 심하고 걷기도 힘들어 바로 병원에 방문하는 편이다. 하지만 1도 염좌는 증상이 가볍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완화되는 것으로 보여 제때 치료하지 않는 경우다 많다. 하지만 발목 염좌는 자연 치유가 되기 어렵고 계속 발목을 자주 삐게 되는 발목 불안정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발목 불안정증이 생기면 조금만 무리하게 움직이거나 충격을 받아도 발목이 손상될 수 있고, 이러한 일이 반복되면 발목 관절염 등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은데, 병원에 빠르게 방문하면 약 복용,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주사치료 등 비수술 치료만으로도 회복할 수 있다.
시간이 오래 지날 경우 손상된 인대가 제대로 회복되지 못해 만성 발목 불안정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수술까지 필요할 수 있다. 수술 시 회복 기간도 장기간 소요될 수 있으므로 발목을 삐었다면 증상이 경미하다고 해도 바로 병원에서 상태를 살펴봐야 하겠다.
글. 관평 민재활의학과 최필순 원장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