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정재현 원장
사진. 정재현 원장

전립선비대증은 중장년 남성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립선이 커지면서 배뇨장애를 유발한다. 50세 이상 남성의 절반 이상에서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환으로 요로감염, 방광 기능 저하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절한 관리 및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다양한 치료 방법들이 도입되고 발전하고 있어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졌다.

전립선비대증은 배뇨곤란, 잔뇨감, 빈뇨, 야뇨와 같은 하부 요로 증상을 유발한다. 초음파, 요역동학검사, PSA 검사 등을 통해 전립선의 크기와 기능 상태 진단이 가능하며, 증상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치료방법은 약물부터 수술적 방법까지 다양하며, 증상의 정도와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많이 알려진 방법으로는 홀렙(HoLEP), 튜브(TUEB), 유로리프트(Urolift)부터 최근 신의료기술로 인증된 리줌(ReZum) 등이 있다.

먼저, 홀렙은 고출력 홀뮴 레이저를 이용하여 전립선 조직을 절제하는 수술이다. 레이저의 정밀도가 높아 출혈이 적고, 회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전립선 크기가 큰 환자에게 적합하고 장기적인 효과가 입증된 수술방법이다.

리줌은 수증기를 이용하여 전립선 조직을 축소하는 최신 치료법으로, 최소침습적 치료법 중 하나이다. 수증기의 열 에너지를 이용해 조직을 제거하며, 회복 기간이 짧고 성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여러 이유로 수술을 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특히 적합한 치료법이다.

유로리프트는 전립선 조직을 고정 클립으로 묶어 요로를 넓히는 비침습적 치료법으로 위의 2가지 방법과는 다르게 절제 등이 필요한 수술이 아니다. 유로리프트는 성 기능 유지가 중요한 환자들에게 적합하며, 이 역시 시술 시간이 짧고 입원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

튜브는 전립선 조직을 전기 에너지를 사용해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비교적 간단하면서 출혈 위험성이 적은 시술이다. 고령 환자나 수술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적합하며, 짧은 시술 시간과 빠른 회복이 장점인 수술 방법이다.

전립선비대증은 증상과 환자 상태에 따라 치료법을 다르게 선택해야 한다. 약물치료가 충분하지 않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라면 위에 언급된 치료법들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고령 환자나 전신마취가 어려운 경우라면, 유로리프트나 리줌 같은 최소침습적 시술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전립선 크기가 큰 환자라면 홀렙이 가장 적합한 치료로 평가된다.

전립선비대증의 치료는 점점 더 정밀하고 환자 맞춤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신 기술들은 환자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면서도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일상 복귀 속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립선비대증 증상이 의심된다면 불편한 증상을 참고 버티기보다는 전문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글. 서울리더스비뇨의학과 삼성본점 정재현 원장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