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김응민 기자] 치아는 음식물을 씹는 ‘저작 기능’과 함께 올바른 발음을 구사하도록 도우며, 표정이나 심미적인 부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치아는 고령이 되면 치아와 잇몸이 점차 약해지면서 쉽게 탈락해 버리고 마는데, 이 경우 기능적, 심미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상실한 치아는 인공치근을 잇몸뼈에 심어 그 위에 보철물을 덧대는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그 기능을 복원해 주면 된다. 그러면 치아와 모양이 유사하다 보니 심미적으로도 우수하며, 전체 치아의 기능을 80% 정도 회복할 정도로 저작 기능도 다수 회복이 가능하다.

문제는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경우 임플란트 비용 부담이 커 상실한 치아 전부를 심기에는 무리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까닭에 치과에서는 상실한 치아의 개수만큼 임플란트를 심는 대신에 최소한의 임플란트를 2~4개가량 심은 다음 이를 틀니와 고정하는 ‘전악 임플란트’를 통해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다만 전악 임플란트의 경우 고난도에 속하는 수술인 만큼 병원 선택에 주의해야 한다. 병원을 선택할 때에는 먼저 수술이 디지털 방식으로 이뤄지는지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

디지털 방식의 경우 개별 맞춤 수술 유도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경이 손상되거나 보철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낮다. 여기에 임플란트 식립 부분만 작은 홈을 뚫어 수술하므로, 출혈과 붓기, 통증에 대한 부담도 적다.

전악 임플란트는 수술 범위가 넓고 수복이 광범위하게 이뤄지는 만큼 비용이 저렴한 치과를 선택하기보다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 사용하는 임플란트 재료의 정품 여부, 첨단 장비, 의료진의 경력과 노하우 등 여러 요소를 꼼꼼히 따져보고 신중하게 결정할 것을 추천한다.

도움말: 광명 서울임플나무치과 권예진 대표 원장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