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송철 병원장
사진. 송철 병원장

정상적인 다리는 고관절 중심에서 발목 관절까지 일직선을 그렸을 때 축이 무릎 가운데를 지나간다. 이는 체중이 고관절부터 무릎 관절을 지나 발목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전달되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간혹 다리가 O자형으로 휘어 이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만일 정면에서 발목을 붙이고 보았을 때 무릎 사이의 간격이 5cm 이상 벌어지거나 무릎뼈 중간선이 바깥쪽을 향하고, 걸음을 옮길 때 자기도 모르게 안짱걸음을 걷게 되거나 신발 바닥이 유독 한쪽만 닳는다면 O다리일 가능성이 있다.

다리의 변형은 선천적으로 발생되기도 하지만 무릎관절염으로 인한 연골 손상으로 발생되기도 한다. 동양인의 경우 좌식 습관으로 인해 내측 관절 연골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내측 관절 연골이 닳아 가는 과정에서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할 경우 한쪽만 관절 연골이 사라져 무릎뼈가 균형을 잃으면서 내반슬, 즉 O다리로 변형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좌식생활과 집안 살림이 많은 주부에게서 발생되기 쉬우며, 이러한 다리의 변형은 걸음걸이의 변화로 이어져 허리통증과 같은 다른 신체적 문제를 야기할 뿐 아니라 무릎관절염을 더욱 가속화해 빠른 연골 손상을 가져온다.

무릎관절염이 진행되면 초기에는 연골이 조금 닳은 상태로 걸을 때 약간의 통증이 있거나 오래 걷고 난 후 무릎이 뻐근하고 붓는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점차 진행될수록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잠에서 깨는 경우도 생긴다.

근위경골절골술은 이처럼 하중이 쏠리고 마모가 진행되어 변형이 온 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뼈를 절골하여 배열을 올바르게 만들어 주고, 일부에 집중되던 하중을 무릎 전체가 부담할 수 있도록 분산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이를 통해 연골에 휴식을 줌으로써 관절염 질환의 가속화를 막고 손상된 연골의 재생을 도울 수 있다.

이때 연골의 재생을 돕기 위해 미세천공술이나 카티스템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연골 손상의 부위가 크지 않고 재생 회복이 좋은 젊은 나이라면 손상된 연골을 제거하고 뼈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골수세포와 혈액 속 재생인자를 활성화시키는 미세천공술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골재생술인 카티스템 치료는 여기에 제대혈 줄기세포를 투여해 연골을 재생시키는 치료법이다.

꾸준한 운동을 통한 근력 관리 또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규칙적인 운동은 관절 주변 근력을 강화해 무릎 관절을 보호하고 약해진 관절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다만 잘못된 방식으로 운동을 하면 오히려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유의하며,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재활운동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조은마디병원 송철 병원장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