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정맥류는 다리 내부의 혈액 흐름이 달라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정맥 내 판막이 망가지면서 혈액이 역류하여 다양한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 흔하게 알려진 증상으로는 다리 피부 아래로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온 혈관이 있다.
정맥 내 판막은 혈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기능이 저하되면서 혈액이 아래로 뭉치고, 압력이 높아지면서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팽창하게 된 결과이다. 팽창된 혈관은 주변의 신경과 근육 등을 자극하여 각종 불편한 증상 또한 유발한다. 단순히 미용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불편함까지 초래하는 것이다.
하지정맥류는 혈관 질환의 특성상 한 번 발생하면 자연적으로 낫지 않고 꾸준히 악화되는 진행성 질환으로, 초기에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방치한다면 정상적인 혈관들까지 전염되듯이 서서히 망가질 수 있으며 이차적인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심해지기 전 초기에 증상 발견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다리 통증과 저림, 오후가 될수록 심해지는 다리 부종, 무거움, 피로감, 쥐 내림, 야간 다리경련, 가려움증 등이 있다. 증상은 1가지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얽혀서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증상은 근골격계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진단을 통해 정확히 구분해야 한다.
진행성 질환이기에 문제가 발견되었다면 치료를 즉시 시작해야 하는데, 개인마다 증상이 다르고 해당 정도 역시 다르기 때문에 알맞은 치료 방법 또한 다르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에는 보존적 요법을 이용해 볼 수 있다. 정맥 순환 개선제를 복용하거나 의료용 압박스타킹을 착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증상을 어느 정도 완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보존적 치료에 불과하며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 이미 질환이 진행 중이라면 시술 또는 수술을 해야한다.
비수술적 치료법 중 가장 간단하게 보이는 치료법은 혈관경화요법으로, 주사로 약물을 주입하여 혈관을 접착하여 차단하는 방법이다. 거미양(모세혈관확장증), 망상정맥류처럼 다리에 실핏줄이 도드라져 보일 때 그리고 혈관 직경이 4mm 이하인 경우라면 혈관경화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뿌리에 해당하는 복재정맥의 이상 유무에 따라 시술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외관상 심해 보여도 복재정맥에 문제가 없다면 혈관경화요법을 해볼 수 있으며, 반대로 외관상 경미해도 복재정맥에 이상이 있다면 수술이 필요하다.
하지정맥류의 수술 치료는 양상은 조금씩 다를지 모르나, 문제 혈관에서 일어나는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공통 목표로 한다. 과거에는 문제가 있는 혈관을 직접 제거하여 혈류 흐름을 잡았다면 최근에는 고열(고주파, 레이저)이나 생체 접착물질(베나실), 혈관경화제 약물 사용(클라리베인) 등으로 혈관을 폐쇄하여 문제 혈관으로 혈액이 흐르지 않도록 한다.
수술 방법이 다양하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환자의 다리 상태 및 혈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수술법이 달라진다. 치료 비용과 회복기간, 합병증의 가능성 또한 모두 달라지기에 사전에 꼼꼼한 진단과 상담이 최우선 되어야 한다.
글. 88흉부외과의원 임재웅 원장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