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최선재 기자] 지난 7일 아스트라제네카가 유럽 시장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완전 철수했다. 자진 철회 요청에 따른 시장 철수지만 최근 중대한 부작용를 인정한 이후 나온 조치라는 점에서 파장이 상당하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AZ 백신 부작용을 부실 검증한 문재인 정권을 향해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 세계가 외면한 AZ 백신을 검증 없이 대량으로 들여왔다는 지적이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상업적인 이유로 시장 철수라는 선택을 했다고 전했지만 주요 외신의 입장은 전혀 다르다.
인디펜던트 등 외신은 아스트라제네카 측이 소송 과정에서 TTS(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부작용을 처음으로 인정한 직후 EU에 허가 철회를 자진으로 요청했다고 꼬집었다.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이슈가 결국 아스트라 제네카의 발목을 잡았다는 뜻이다.
더욱 큰 문제는 대한민국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모범 접종국'이었다는 점이다.
2021년 1월 세계 최초로 영국에서 AZ 백신 첫 접종 사례가 나온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발빠르게 움직였다.
식약처는 영국인 첫 접종 이후 한 달 만에 AZ 백신을 조건부 허가했다. 임상 3상에서 65세 이상 비율이 적어 전 세계적으로 논란이 일었지만 그대로 밀어부쳤다.
심지어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네덜란드, 스페인, 폴란드 등은 65세 미만에게만 권장할 정도로 주의를 기울였지만 아랑곳하지 않았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허가 직후 1차 접종을 하고 5주만에 2차 접종을 마쳤다.
G7 회의에서 문 전 대통령은 파스칼 소리오 아스트라제네카 CEO를 만난 자리에서 “아스트라제네카는 한국에서 처음 접종된 백신이자, 가장 많은 한국인들이 맞은 백신이라는 면에서 한국은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모범국”이라고 밝혔다.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문 전 대통령은 “한국의 백신 접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요청드린다”며 “아스트라제네카의 하반기 백신 공급도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덧붙였다.
때문에 대한민국은 유럽이 AZ백신 연령별 접종 제한을 하고 미국에서는 허가를 불허했는데도 가장 빠르게, 가장 많은 국민들이 백신을 접종했다.
당시 국가 최고 책임자였던 문 전 대통령 중심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예찬론'을 펼친 이후 전 국민을 대상으로 초고속 작전을 펼친 결과였다.
의료 전문가들의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강윤희 전 식약처 임상위원은 "당시 유럽의약품청이 안전성 문제를 경고했는데도 정부는 가장 모범적으로, 가장 늦게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정책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심지어 이웃나라 일본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늦게 시작했고 부작용 이슈를 인지한 순간 접종분을 폐기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최근 유럽에서 완전히 철수한 상황에서 누구 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