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오는 10월 6일 의료계가 총파업을 단행할 경우 전국 약국에서 직접 조제를 실시키로 했다.
대한약사회 국민건강수호 의약분업 비상대책위원회(이하 국건수)는 지난 19일 밤 9시부터 약사회관에서 11차 전체회의를 열고 약사회가 일치된 모습으로 완전 의약분업 촉구에 한 목소리를 내자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그러나 임시총회 및 대표자회 소집등은 오는 10월 6일 의료계가 총파업을 지켜보면서 투쟁수위를 결정키로했다.
국건수는 의료계가 총파업에 착수할 경우 약사회는 전국이 일시적으로 병의원 없는 의약분업 예외 상황임을 선언하고 전국 2만여 약국에서 동시에 직접 조제를 실시키로 결정했다.
병의원은 문을 닫고 약국은 처방전이 없어 약을 조제하지 않을 경우 국민들의 피해만 심각해지는 만큼 이를 최소화하기위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국건수는 특히 "의약분업에 대한 일부 정치인의 단견을 엄중히 경고한다!"는 성명서를 통해 임의분업 및 연기 등의 부당성을 강력히 제기했다.
성명서는 임의분업은 의약분업이 아니며 분업 실패국인 일본이 선진국중 가장 많은 약제비를 지출하는 살인적인 의료비 국가라며 논의조차 결단코 용납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솔선수범해 법과 질서를 지켜야 할 정치인이 8개월간 2번이나 개정한 누더기 약사법을 또 다시 개정하려는 이율배반적인 자기 모순을 정치인 스스로가 인정한 처사이며 현 사태의 책임이 의사측에게 있음에도, 탈법 행위에 대한 엄격한 법 적용 대신에 의사의 처방료 인상만 가져온 국민 부담으로 무마하려는 정책에 부화뇌동하는 움직임이 있다면 이를 즉각 중지할 것을 엄중 경고했다.
따라서 정치 논리에 국가 보건의료정책을 거꾸로 되돌릴 경우 우리 5만 약사도 분연히 일어나, 그 결집된 힘으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투쟁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