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료계의 장기화되고 있는 파업에 대응할 행정·사법조치 검토에 들어가는 한편 조건없는 의료계대화를 촉구했다.


정부는 18일 최인기행정자치부 장관 주재로 보건복지,법무,교육부 장관, 청와대 복지노동수석비서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조건없는 대화를 의료계에 촉구했다.


특히 조속한 시일내에 의료계의 진료복귀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행정적,사법적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부처별 구체적인 작업을 검토키로 했다.


또한 의료사태의 장기화에 대비한 비상진료와 지역거점병원 운영체계를 조기에 마련하고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진료능력을 보강키로 했다.


한편 대학병원들은 전공의, 전임의 파업에 이어 의대교수들의 외래진료 및 응급실 부분 철수로 진료차질이 계속되고 있으나 대부분 병원에서 처방안내센터나 응급실내 진료실에서 부분적인 외래진료가 이뤄지고 응급실과 중환자실,분만실이 정상 운영돼 심각한 의료공백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의료계가 오는 10월초 총파업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함으로써 정부의 강경수에도 불구하고 의료계 정상화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