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발 신종 인플루엔자(이하 신종플루)가 전세계를 대유행 공포로 몰아갔으며 지난 8월부터 국내에도 감염자가 확산되면서 올해 하반기 내내 보건당국은 신종 플루와의 전쟁을 벌였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이나 유럽 선진국들은 신종플루를 지난 2006년 인플루엔자 대유행을 예측하고 신종플루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비롯해 백신 확보에 나서는 등 나름대로 대비를 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신종플루가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타미플루 확보에 나서기 시작했으며 예방백신을 확보하기 위해 이종구 질병관리본부장이 직접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본사를 방문하는 뒷북치는 행정으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정부의 안일한 예방대책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올해 국회 국정감사장을 뜨겁게 달구었다.

한나라당 원희목 의원은 지난 2008년 국감에서도 인플루엔자 유행에 대비해 감사원이 치료제 확보를 주문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의 자료를 근거로 국회에서도 치료제 확보를 요구했지만 정부가 미온적으로 대처했다는 것이다. 또한 WHO가 국민의 20%정도 규모로 신종 플루 치료제가 확보되어야 한다고 권고했지만 국내는 2%의 타미플루 확보가 문제로 지적됐다.

무엇보다 국감이 열리던 지난 10월 당시 이종구 질병관리본부장의 해외 출장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종구 질병관리본부장이 GSK와 맺은 협약서의 내용이 구두로 진행된 것이라서 효력이 없다는 지적이었다. 또한 백신과 관련된 사고가 났을 때 재판지역이 국내가 아닌 영국으로 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논란이 됐었다.

이런 가운데 보건의료시민단체는 타미플루의 강제실시를 주장하고 나섰다. 정부가 늦장 대응으로 WHO의 권고 사항인 전체 국민 20%의 양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강제실시를 통해서 치료제를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이런 보건의료시민단체들의 주장은 정부의 이미 타미플루를 충분하게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이유로 수용되지 않았다.

계절독감 품귀로 접종가 급등

신종 플루 대유행으로 계절용 독감백신도 전세계적으로 품귀현상을 빚어 국내에서도 연간 1500만 도스를 생산해 오던 것을 올해는 1000만 도스를 약간 웃도는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독감백신 원액을 생산하던 기업들이 신종플루 백신원액 생산으로 전환했기 때문. 이로인해 원액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우리나라는 수입량이 급감한 반면 신종플루 불안심리 때문에 백신접종 수요는 급등해 보건소는 물론 전국 병의원이 계절독감 백신 접종 희망자로 북세통을 이루었다.

병의원에서 15,000원대에 접종하던 가격이 3만 원 이상으로 급등해도 접종할 수 없는 현상이 벌어진 것. 전국의 병의원 등은 백신확보를 위해 국회의원을 비롯한 모든 백을 동원하는 현상까지 빚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백신제제 전문업체인 녹십자가 화순에 인플루엔자백신공장을 올 하반기부터 가동하게 됐다는 점이다. 녹십자가 생산한 계절용 백신에 이어 신종플루 백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허가(세계에서 8번째)돼 지난 10월 27일부터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접종에 들어갔다.

올 연말까지 500만 명에게 순차적으로 백신을 접종하겠다는 것이 복지부의 계획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가 발생, 백신의 안전성에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7일에는 신종플루 백신을 접종한 영아가 사망함으로써 그 우려감을 확산되고 있으나 그동안 독감백신 접종과 관련된 사망에서 보건당국은 역학조사 결과 백신과의 연관성이 없다는 발표를 하고 있지만 이에 대해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신종 플루 사망자가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지난 11월 3일 정부는 ‘신종플루’ 대응 단계를 ‘심각단계’로 격상하고 비상관리체계에 들어갔으나 다시 확산이 안정화되자 지난 12월 10일에는 ‘경계단계’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 17일에 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신종플루 환자가 지난 주에 비해 1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바이러스제 복용도 감소해 전주에 비해 33.4% 감소했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 9-10월에 신종플루로 인한 공포가 확산된 것에 비하면 안정화된 상태이다.

신종플루 확산이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초기 정부가 치료제와 백신 확보 부재와 백신 자주권 확립은 여전히 숙제로 남을 전망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