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 증강…반응생성력·독성 억제 관건
개발 중 인간용 백신보조제들 상대적 특성
백신접종 위치에 보강제 패취로 면역 증강
FDA승인 보조제 극소수
백신은 면역반응이 유도되도록 하는 항원과 자연적 면역체계를 자극하는 면역 증강제(potentiators) 및 백신이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시간에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체계로 구성된다. 우리가 백신 보조제(adjuvants)라고 하는 것은 주요 작용기전에 따라 전달체계와 면역 증강제로 분류된다.
그동안 백신 개발에 있어 중점이 됐던 것은 항원개발로 보조제 개발은 중시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 현재 백신보조제로 FDA 등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은 것은 알루미늄염과 MF59, virosomes 정도가 유일하다. 이들은 전달체계에 속하는 것으로 면역 증강제는 사람의 예방백신에 승인된 바 없다.
하지만 면역반응의 결과에 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보조제는 HIV, C형간염, 결핵, HSV(단순 헤르페스바이러스), 암과 같은 만성 감염에 대한 백신의 필요성에 따라 세포 면역반응 생성이 백신의 중점사항이 되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백신개발 추세가 전통적인 全세포 혹은 바이러스백신에서 subunit 백신으로 바뀜에 따라 분리된 항원이 충분한 면역력을 생성하지 못 할 수 있기 때문에 강력한 보강제를 추가할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판데믹 도래 시 신속하게 제조돼야 하는 판데믹 백신에 있어 필요 항원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도 모색되고 있다. 현재 기존 보조제 및 신규 보조제 성분들이 다양한 전임상 및 임상 단계에 있다.

안전성·내약성 입증 관건
신규 백신보조제 승인에 있어 안전성과 내약성(tolerability)이 가장 중요하며 가장 큰 장애물이기도 하다. 백신 항원에서와 마찬가지로 보조제 역시 유효성이 높아질수록 반응생성력(reactogenicity) 및 독성도 높아지게 된다.
보조제 자체에 대한 전임상연구에 더해 항원결합 보조제 제형이 동물 2개 종 이상에서 독성 스크리닝을 통과해야 한다. 이 동물 독성 스크리닝은 임상시험 시작이 가능한지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에 투여될 용량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용량과 빈도로 같은 투여경로를 통해 이뤄지게 된다. 그러므로 백신 보조제 활용 이점이 반응생성력 혹은 이상반응 증가 위험과 균형을 이뤄야 한다는 것.
백신으로 인해 유발되는 이상반응은 크게 국소반응과 전신반응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국소반응에는 주사자리 통증, 염증, 부종에서 육아종(granuloma), 무익한(sterile) 농양 형성, 임파종, 궤양형성에 이르는 반응이 포함된다. 전신반응에는 오심, 열, 보조제 관절염, 포도막염, 호산백혈구 증가증, 알레르기 반응, 기관 특이 독성, 아나팔락시스, 사이토카인 진동(libration)으로 매개된 면역독성, 면역억제 및 자가면역질환 유발 등이 해당된다.
알레르기 및 아나팔락시스와 같은 일부 전신반응은 분명히 항원으로 인한 것이지만 보조제 관절염 같은 증상은 보조제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발되거나 악화될 수 있다. 어느 이상반응이 항원에 의해, 보조제에 의해, 혹은 둘 다에 의해 매개되는지 알아내는 것은 어려운 일일 수 있다.
소아용 더 안전한 보조제 절실
백신보조제 개발에 있어 아직 풀리지 않은 주요 문제는 면역생성력 혹은 독성은 피하면서 강력한 보조제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MF59, ISCOM, QS21, AS02, AS048과 같은 대부분의 신규 인간용 보조제는 오랜 기간 유일하게 사용된 알루미늄염 보다 더 높은 국소성 반응생성력과 전신적 독성을 지니고 있다. FDA승인을 받은 알루미늄염 조차도 주사자리 통증, 염증 및 임파종 등의 눈에 띄는 부작용을 유발하며 좀 더 드물게는 주사자리 괴사(necrosis), 육아종 혹은 무익한 농양을 초래하기도 한다.
다수의 보조제로 인한 백신 이상반응은 생명에 치명적이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해소되지만 지역사회에서 정기적인 예방접종을 더욱 잘 수용하는 데에는 가장 중요한 장애물 중의 하나로 남아있다.
이는 특히 소아에 대한 예방접종에 적용된다. 반응생성력 증가로 인해 어린이에 고통이 지속되게 되면 부모 및 지역사회에서 접종에 대한 저항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히 어린이 예방접종에 있어서는 반응생성력은 낮고 안전성은 더 ?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