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김응민 기자] 경보제약(대표 김태영)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AI 기반 표적맞춤형 링커-약물 복합체 제조 자율랩 기술개발' 과제의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결합해 의약품 설계 및 제조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바이오의약품 생산 효율을 높이고, 차세대 항체-약물 접합체(ADC) 개발의 기반을 국내에 확립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경보제약은 한국기계연구원, 고려대학교 등과 공동으로 2029년 12월까지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총 192억 원 규모의 사업비 중 약 24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아, AI와 로봇을 접목한 자율 실험실 및 의약품 자동화 제조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AI 기반 자율 제조 장비를 통해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의약품 제조 단계를 검증하고, 시제품 제작 효율을 높일 방침이다.
또한 표준화된 제조·품질검증 체계를 확립하고, 링커·약물 복합체 설계 및 제조 시스템을 고도화해 ADC 개발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경보제약 관계자는 "경보제약은 지난해 ADC GMP 생산시설 구축을 위해 약 855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진행하는 등 ADC CDMO 사업을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AI·로봇 기반의 첨단 제조 역량을 확보함으로써 ADC CDMO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응민 기자
yesmin@pharmnews.com
다른기사 보기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