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우정민 기자]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한 항체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실증’ 국책과제에 단백질 상호작용(PPI) 기반 신약개발 기업 프로티나가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서울대학교 백민경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 총 지원 규모는 470억 원이며, 과제 기간은 2025년 10월부터 2027년 말까지 27개월이다.
이번 과제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항체 후보물질을 설계하고, 검증과 임상개발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컨소시엄은 AI로 설계한 항체 후보 10종을 발굴하고, 이 가운데 3종은 비임상시험, 1종은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신청 단계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프로티나는 항체 구조 예측 AI ‘AbGPT-3D’와 단백질 상호작용 기반 검증 시스템 ‘SPID(Single-Protein Interaction Detection)’을 결합해 후보물질 선별 과정을 단축하는 기술을 적용한다. AbGPT-3D는 항체 구조 설계와 서열 생성, 개발 가능성 평가 모듈로 구성돼 있으며, SPID는 결합력·생산성·열 안정성 등 7개 지표를 단기간에 정량화해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후보물질의 세포주 개발과 배양·정제 공정 최적화, 임상용 시료 생산 등 전임상·임상 진입 과정을 총괄한다. 그동안 다수의 글로벌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은 경험을 기반으로, 비임상 독성시험(GLP-tox)과 임상 1상 신청까지의 절차를 수행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은 이번 과제를 통해 항체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을 본격 도입함으로써 개발 효율성과 실증 가능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또한 개발된 후보물질은 특허 출원과 후속 연구로 이어져, 국내 항체신약 연구의 기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태영 프로티나 대표는 “이번 과제는 연구기관과 산업계가 협력해 인공지능을 실제 신약개발 과정에 적용하는 사례로 의미가 크다”며 “제한된 기간 내 기술의 실증적 성과를 제시하겠다”고 밝혔다.김윤철 삼성바이오에피스 상무는 “공정개발과 품질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항체 후보물질의 개발 절차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