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우정민 기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4년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뷰티·바이오 분야에 대한 해외 평가는 국가마다 뚜렷한 온도차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대만·싱가포르·우즈베키스탄이 새롭게 포함돼 총 15개국 22개 도시에서 진행됐다. 성형, 피부미용, 건강검진 등 미용·바이오 서비스 전반을 다뤘으며, 각국 응답자의 만족도, 신뢰도, 비용 인식,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전반적으로 동남아와 중앙아시아는 긍정적인 반응이 두드러졌고, 일부 선진국은 신중한 평가를 내렸다.

사진 설명. 2024년 분야별 바이오헬스 선도국 순위 변화. 한국은 화장품 1위, 의료서비스 5위, 의약품과 의료기기 6위를 기록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공)
사진 설명. 2024년 분야별 바이오헬스 선도국 순위 변화. 한국은 화장품 1위, 의료서비스 5위, 의약품과 의료기기 6위를 기록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공)

성형·피부미용 만족도에서 태국은 65.8%로 선두에 올랐다. 우즈베키스탄(61.8%)과 카자흐스탄(52.0%)이 뒤를 이었고, 베트남(45.8%)과 싱가포르(44.0%)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일본은 23.9%, 미국은 22.8%에 그쳤으며, ‘보통’ 응답은 일본 26.8%, 영국 29.3%로 나타나 서구권의 신중한 태도를 엿볼 수 있었다. 이는 한국 미용 의료가 신흥시장에서 강세를 보이지만, 서구권 진출에는 인지도와 홍보 전략의 재정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건강검진·바이오 기술 신뢰도에서는 태국이 47.9%로 가장 높았다. 카자흐스탄(42.0%)과 우즈베키스탄(41.1%)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잇고, 싱가포르가 39.5%를 기록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첨단 장비와 설비 수준을 높게 평가했으며, 한국 방문 시 건강검진과 바이오 치료를 함께 받을 의향이 뚜렷했다.

비용 경쟁력 부문에서는 우즈베키스탄(45.0%), 베트남(41.5%), 카자흐스탄(40.8%) 순으로 긍정 평가가 높았다. 반면 일본(23.2%)과 미국(22.8%)은 비용 부담을 주요 장벽으로 꼽았다. 접근성에서는 카자흐스탄이 50.8%, 우즈베키스탄이 50.0%를 기록했으며, 직항 노선 확대와 현지 네트워크 강화가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됐다. 일부 동남아 국가는 의료관광 패키지와 지역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로 접근성이 향상됐다고 답했다.

서비스 품질, 의료진 전문성, 사후관리 등에서도 국가별 차이가 분명했다. 동남아와 중앙아시아는 친절도와 설명의 명확성을 높게 평가한 반면, 일부 서구권은 언어 장벽과 문화 차이를 지적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표준화된 서비스와 현지 맞춤형 지원의 균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한국 뷰티·바이오 의료서비스는 동남아와 중앙아시아에서 확실한 입지를 확보했지만, 선진국 시장에서는 가격 경쟁력과 신뢰도 제고, 문화·언어 장벽 해소가 과제로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별 문화와 규제, 소비자 성향을 반영한 맞춤형 홍보와 지속적인 관계 구축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