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우정민 기자]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위원장 최희선, 이하 보건의료노조)이 보건의료 현안 해결을 위한 협력 방안에 전격 합의하면서, 보건의료노조는 오는 7월 24일로 예고했던 총파업을 철회했다.
이번 합의는 지난 17일부터 진행된 실무협의를 통해 24일 도출됐다. 양측은 공공의료 강화와 의료인력 확충 등을 담은 ‘9.2 노·정(勞政) 합의’가 현 정부의 정책 기조와 부합한다는 점을 재확인하며, 직종별 인력 기준 마련과 제도화 등 미이행 과제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지난 5월 14일 체결된 정책협약의 취지를 반영해,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논의 역시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실무협의를 토대로 보건복지부와 보건의료노조는 ‘새로운 노·정 대화 모델’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는 보건의료 정책 결정 과정에 노조의 참여를 제도적으로 확대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대화의 틀을 통해 양측은 의료현장의 안정과 제도개선을 동시에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양측은 장기화되고 있는 의정갈등 해소에도 공동 대응하겠다는 뜻을 모았다. 의료개혁 추진을 둘러싼 갈등이 의료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노조가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공병원의 임금체불 문제, 대법원 판결에 따른 통상임금 문제 등 구체적인 현안에 대해서도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보건복지부와 보건의료노조는 이번 합의를 계기로, 대립이 아닌 협의를 통해 의료현장의 문제를 풀어가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보건의료노조는 예고된 총파업 계획을 철회하고, 앞으로의 정책 대화를 통해 실질적인 변화 도출에 집중할 방침이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