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우정민 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이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사망원인통계를 연계한 2023년 자료를 21일 공개했다. 이번 자료는 총 6,567명의 사망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계율은 97.5%에 달한다. 건강 행태나 질병 상태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기초자료로 평가된다.
연계 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성인 가운데 사망원인통계 자료 연계에 동의하고 주민등록번호가 유효한 71,657명이었다. 이 가운데 69,855명의 자료가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와 성공적으로 연계됐으며, 2023년 최신 통계가 반영됐다.
주요 사망 원인으로는 암이 1,964명(29.9%)으로 가장 많았고, 순환계통 질환 1,385명(21.1%), 호흡계통 질환 819명(12.5%) 순이었다. 남성은 암(32.8%), 순환계통(18.5%), 호흡기계(14.2%) 순이었고, 여성은 암(26.4%)과 순환계통(24.3%)이 비슷한 비중을 보였으며, 증상·징후 등 미분류 이상 소견(11.3%)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외인, 감염성 질환, 신경계, 소화계 질환 등이 확인됐다.
해당 자료는 건강 위험 요인과 사망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며,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로 활용된다. 연구자는 질병관리청과 통계청의 심의를 거쳐 자료를 신청할 수 있고, 오송의 학술연구자료처리실 또는 원격 분석 시스템을 통해 자료에 접근할 수 있다. 제공되는 정보에는 사망 시기, 원인, 건강 행태, 생활습관 등 주요 변수가 포함된다.
이번에 공개된 연계자료는 2007년부터 2023년까지의 사망원인통계를 반영한 2.2 버전으로, 향후에도 정기적으로 갱신될 예정이다. 임승관 청장은 이 자료가 다양한 보건의료 연구에 널리 활용돼 건강수명 연장과 만성질환 예방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향후 건강보험, 암등록통계 등과의 자료 연계를 확대해 과학적 정책 수립을 위한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