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우정민 기자] 정부와 의료계가 오랜 갈등의 고비를 지나 실질적인 소통에 나서고 있다. 의과대학생의 학업 복귀 문제를 중심으로 의료 정상화 논의가 재개되면서, 양측이 신뢰 회복의 출발점에 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0일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대한한의사협회를 차례로 방문했다. 이틀 전인 8일에는 대한의사협회, 병원협회, 간호협회를 찾은 바 있다. 이번 방문은 차관 취임 이후 주요 보건의약단체들과의 상견례 성격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향후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취지다. 보건복지부는 “정부는 의료계와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히 소통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 역시 정부의 연이은 소통 행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같은 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총리와 복지부 차관이 취임 직후 의협과 만난 것은 신뢰 회복을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며 “이제는 의과대학생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환경이 마련되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의협은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로 교육 정상화를 꼽았다. 의대생들이 안정적인 교육환경에서 성장하지 못할 경우, 의학교육 체계 전반에 손상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협회는 “국가와 사회는 이들이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학생들의 복귀가 더 늦어질 경우 학업뿐 아니라 국가시험 일정, 장기적 의료 인력 수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복귀 논의에는 여러 현실적 제약이 뒤따른다. 의협은 “대학은 복귀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새롭게 설계해야 하고, 정부는 그동안의 정책 입장을 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선 교육 현장과 정부 모두 일정 수준의 부담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복귀는 단일 결정으로 이뤄지기 어렵다. 그럼에도 협회는 “국가의 미래를 위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복지부와 의료계의 연쇄 접촉은 단절됐던 소통의 끈을 다시 잇는 계기로 평가된다. 양측 모두 신뢰 회복을 전제로 협력의 여지를 열어두고 있어, 향후 논의의 진전 여부가 주목된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