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우정민 기자] 고혈압 치료에서 꾸준한 약 복용이 어렵다는 현실을 반영하듯, 보다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유전자 발현을 억제해 특정 단백질 생성을 차단하는 RNA 간섭(RNAi) 기술을 적용한 신약 질레베시란(zilebesiran)이 기존 항고혈압제와 병용될 경우 혈압을 안정적으로 낮춰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레베시란은 미국의 RNA 간섭 치료제 전문 기업 앨나일람 파마슈티컬스(Alnylam Pharmaceuticals)가 개발 중인 신약으로, 간에서 생성되는 안지오텐시노겐(angiotensinogen)이라는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다. 안지오텐시노겐은 혈압 상승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안지오텐신 II의 전구체로, 혈압 조절 시스템인 레닌-안지오텐신계(Renin-Angiotensin System, RAS)의 가장 상위 단계에 위치한다. 기존 약제가 RAS 경로의 말단, 즉 수용체를 차단하는 데 반해, 질레베시란은 이 경로의 가장 윗단을 차단하는 점이 특징이다.
미국 브리검여성병원(Brigham and Women's Hospital) 심장내과 Akshay Desai 교수팀은 2022년부터 2023년까지 8개국 150개 기관에서 고혈압 환자 663명을 대상으로 KARDIA-2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대상자들은 인다파마이드(indapamide) 2.5mg, 암로디핀(amlodipine) 5mg, 올메사르탄(olmesartan) 40mg 가운데 하나를 4주간 복용한 후, 24시간 평균 수축기 혈압이 130~160mmHg인 경우 질레베시란 600mg 또는 위약을 한 번 피하주사 형태로 맞았다
참고로 인다파마이드는 이뇨제, 암로디핀은 칼슘채널 차단제, 올메사르탄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로, 고혈압 치료의 1차 약제로 널리 활용된다.
투여 3개월 후 질레베시란 투여군은 위약군보다 수축기 혈압이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인다파마이드 병용군은 평균 12.1mmHg, 암로디핀 병용군은 9.7mmHg, 올메사르탄 병용군은 4.5mmHg 낮아졌으며(P<0.05),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 수치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인다파마이드 병용군에서는 진료실 수축기 혈압이 위약군보다 평균 18.5mmHg 더 낮았다. 이 효과는 6개월까지 유지됐다. 인다파마이드 병용군에서 목표 혈압(130mmHg 미만 또는 20mmHg 이상 감소)에 도달한 환자는 질레베시란 투여군이 64.2%로, 위약군(14.0%)보다 4배 이상 높았다(OR=12.4, P<0.001).
질레베시란의 작용 기전을 반영하듯, 투여 2주 후 환자의 혈중 안지오텐시노겐(angiotensinogen) 농도는 평균 약 90%까지 감소했고, 이 효과는 6개월까지 지속됐다. 특히 기존의 강력한 레닌-안지오텐신계(RAS) 차단제인 올메사르탄과의 병용에서도 추가적인 혈압 강하 효과가 관찰돼, 연구진은 질레베시란이 수용체 차단을 넘어 더 높은 단계의 레닌-안지오텐신계(RAS)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질레베시란 투여군과 위약군 간에는 이상반응 발생 비율에서 차이가 있었다. 고칼륨혈증은 질레베시란군에서 5.5%, 위약군에서는 1.8%였고, 저혈압은 각각 4.3%와 2.1%, 급성 신손상은 4.9%와 1.5%로 보고됐다. 전반적으로 질레베시란을 맞은 환자에게서 부작용이 더 자주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증상은 경미했고 일시적으로 발생했으며, 특별한 치료 없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진은 이러한 이상반응이 치료 과정에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연구를 이끈 Desai 교수는 “고혈압 환자 다수가 여러 약을 복용해야 하는 현실에서, 질레베시란은 반년에 한 번의 주사로도 혈압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특히 매일 약을 복용하는 일이 쉽지 않거나 기존 치료에도 혈압 조절이 잘 되지 않는 환자들에게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이번 연구는 고위험 환자를 제외했고 추적 기간도 6개월에 그쳤다는 제한이 있다. 이에 연구팀은 장기 안전성과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KARDIA-3 연구를 현재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28일 의학 학술지 JAMA에 게재됐다.
출처 : Akshay S. Desai, MD, MPH, et al. “Add-On Treatment With Zilebesiran for Inadequately Controlled Hypertension: The KARDIA-2 Randomized Clinical Trial.”JAMA. Published online May 28, 2025. doi:10.1001/jama.2025.6681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