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김민건 기자] 31일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가 국내 진출한 33개 글로벌제약사를 대상으로 R&D 비용과 연구인력을 조사한 결과 초기 1·2상 임상시험과 중증·희귀질환 연구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글로벌제약사가 2022년 한 해 동안 국내 임상연구에 투자한 R&D 총비용(해외 본사의 국내 R&D 직접 투자 비용 제외)은 약 8178억원으로 2018년에서 2022년까지 최근 5년간 연평균 14.8% 증가했다.
2022년에 진행된 임상연구 건수는 전년 대비 약 0.6% 증가한 총 1600건이었다. 국내 임상연구 투자 규모가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이번 연구에는 2022년 기준 R&D 총 투자비용, 종사 인력 및 다양한 임상연구 관련 현황 등을 포함한 임상연구 기여 활동과 제도 개선 제안 등을 포함했다.
KRPIA는 "전세계적으로 등록된 글로벌제약사 의약품 임상시험 건수 뿐만 아니라 국내 임상시험 승인 건수도 전년 대비 모두 감소하는 추세다"며 "글로벌제약사의 국내 R&D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밝혔다.
KRPIA는 "글로벌제약사의 이러한 국내 임상시험 인프라 투자는 한국 환자에 대한 혁신적 치료 기회 확대로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2022년 기준 글로벌제약사가 임상을 통해 국내 환자에게 지원한 임상시험용 의약품 비용 가치는 약 ,449억원으로 2018년부터 2022년도까지 5년간 진행한 1~3상 역시 꾸준한 증가했다는 것이다.
특히 초기 임상시험인 1~2상 임상시험은 각각 14.5%, 9.4%의 높은 연평균 성장률로 국내 환자가 보다 빠르게 혁신적 치료에 접근하는데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중증∙희귀질환에 대한 활발한 임상 연구와 지속적인 투자 확대도 이어졌다. 2022년 주요 임상 연구 중 항암제 연구 건수는 약 76.0%, 희귀질환 연구건수는 11.8%를 차지했다.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임상 건수 추이에서도 항암제 연구(14.7%) 및 희귀질환 연구(25.6%)가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2022년 R&D 활동 종사 인력은 총 2055명으로 2018년도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R&D 인력 중 특히 임상연구 인력 비중이 두드러졌다.
KRPIA는 "글로벌제약사가 국내 임상시험 인프라 투자를 통해 기존 의약품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효과가 입증된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제약사의 꾸준한 임상연구 투자는 국내 전문인력 창출 및 제약산업 발전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KRPIA 소속 글로벌제약사들은 임상시험을 통한 R&D 투자 외에도 기초연구·비임상시험, 국내 개발 물질 도입, 국내 단체와의 협약 등 다양한 공동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국내 대학 및 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키워드
#KRPIA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