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김응민 기자] 100세 시대를 맞이해 노인 빈곤에 대한 문제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부동산 주택연금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전인구 전인구경제연구소 대표는 5일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열린 '2023 그랜드 제너레이션 컨퍼런스(약사신문 주최)'에서 "일반적인 생애 현금흐름을 살펴보면 지출보다 소득이 높은 시기가 많지 않다"라며 "더군다나 갈수록 은퇴가 빨라져서 이에 맞는 적절한 노후 계획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모 은행에서 희망 명예퇴직을 받았는데 83년생부터 대상자로 선정됐다"라며 "이제는 은퇴라는 것이 60세가 아니라 젊은 나이에 할 수도 있게 된 것이다. 이렇게 되면서 이른바 '근로의 양극화'가 발생하고 있다. 미리미리 준비해야 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전 대표는 "연구에 따르면 노후 생활에 필요한 평균 생활비가 월 288만원 수준이라고 한다"라며 "국민연금을 수령해도 100만원이 채 안될텐데, 부족한 돈은 어떤 것으로 채워야 할까. 먼저 부동산과 금융자산을 분리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부동산의 경우, 주택연금이라는 제도가 있다. 은행권에 주택연금에 신청한 시세를 바탕으로 매달 연금이 나오게 되는 형태"라며 "그렇다면 집값이 가장 높을 때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것이 가장 베스트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만약 부동산 가격이 너무 낮을 때 주택연금에 가입했는데 단기간에 가격이 상승하면 그동안 받았던 연금을 다시 반환하고 상승한 부동산 가격에 맞춰 일정 조건을 갖춘 후에 주택연금에 가입하면 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반면에 집값이 떨어진다면 절대 해지하면 안된다"라며 "주택은 부부 모두 사망 전까지 거주하고 반납하게 되며, 주택 시세보다 더 많은 연금 수령도 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