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최선재 기자] '의약품 피해 구제 제도'를 향한 본지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에 식약처가 내놓은 마지막 해명은 'SNS 홍보'였다. 예산이 부족하지만 홍보 방법 다각화의 일환으로 페이스북 등 SNS에 역점을 두었다는 게 식약처 입장이다. 

하지만 취재 결과, 식약처 산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공식 SNS는 약 1년 가까이 의약품 피해 구제 홍보 게시물을 단 한 건도 올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식약처 공식 유튜브에서도 홍보물을 올린 시기가 10개월 전이었다. 

팜뉴스는 그동안 수차례 '의약품 피해 구제 제도'에 대한 식약처 해명을 바탕으로 펙트를 추적해왔다. 특히 의약품안전평가과 과장의 입장이 팩트와 다르다는 점을 수차례 보도했다. 그 과정에서 식약처는 제약사 부담금 약 270억에 대한 특별한 문제의식을 느끼지 않았고 오히려 황당한 해명으로 일관해왔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식약처 의약품안전평가과 과장은 의약품 피해 구제 제도에 대한 홍보와 예산 부족에 대한 본지의 문제 제기에 대해 아래와 같이 답변했다.

"홍보 예산이 부족하기 때문에 홍보의 다각화 전략을 쓰고 있다. 중대한 이상 사례를 근거로 보상을 해왔기 때문에 제도의 수요 계층이 대부분 병원에 몰린다. 입원환자들이 이용하는 대형 병원 위주로 홍보해온 이유다. 특히 일반 소비자 인식도를 높이기 위해 SNS를 활용해서 홍보를 하고 있다."

의약품안전관리원 공식 페이스북
의약품안전관리원 공식 페이스북

하지만 팜뉴스 취재 결과, 의약품안전관리원 공식 페이스북에서는 2021년 8월 25일부터 2022년 7월 11일까지 의약품 피해 구제 관련 게시물을 단 한 건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2021년 8월 24일 의약품안전관리원은 "의약품 부작용으로 사망, 장애, 입원 치료 등의 피해를 입은 환자 및 유족에게 사망 일시 보상금, 장례비, 장애 일시 보상금, 입원 진료비를 지급하는 제도는 무엇일까"라는 내용의 초성 퀴즈 이벤트를 벌였다. 당첨 선물로 총 20명에게 스타벅스 모바일 쿠폰을 지급했다.

하지만 그 때 이후로 2022년 7월 10일까지 약 11개월간, 의약품안전관리원은 피해 구제 관련 이벤트는 물론 단순 홍보물조차 올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대부분 '마약류 ADHD치료제 안전사용 도우미', '약물안전캠패인' '어르신을 위한 올바른 복약 길잡이' 등을 홍보했을 뿐 정작 피해 구제 홍보 게시물은 0건이었다.

"일반 소비자 인식도를 높이기 위해 SNS를 활용하고 있다"는 식약처 과장의 해명이 무색해지는 대목이다. 

더욱 심각한 사실은 2022년 7월 이후 의약품안전관리원이 올린 의약품 피해 구제 관련 홍보 게시물은 참여도 역시 현저하게 떨어지는 수준이었다는 점이다.

2022년 8월 11일 의약품안전관리원은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신청, 의약품 안전 나라에서 진행하세요"라는 카드 뉴스 게시물을 올렸지만 댓글 0건, 좋아요 개수는 1건에 불과했다.

의약품 부작용 피해 보상 사례 모집을 위한 이벤트 역시 댓글은 0건이었고 좋아요 개수는 6개였다. 

그 이후 또 4개월간 의약품안전관리원은 피해 구제 제도 관련 홍보 게시물을 올리지 않았다. 2022년 10월 7일 "의약품 피해 구제 사업이란?" 주제의 카드 뉴스 게시물을 소개했지만 좋아요 개수는 고작 4건이었다. 

11월 10일 올라온 "의약품 피해 구제 제도 2편, 민원 신청 방법'은 좋아요 0건, 댓글 0건을 기록했다. 

식약처가 내세운 '홍보의 다각화'와는 차이가 컸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식약처 공식 유튜브는 어떨까.

이곳에서도 의약품 피해 보상 제도 관련 최근 영상은 찾아볼 수 없다.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어떻게 받아야할까'라는 영상이 올라온 날짜는 10개월 전이었다. 

식약처 유튜브 역시 의약품 피해 구제 홍보에 대한 관심이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고 해석 가능한 이유다.

익명을 요구한 약사는 "의약품 피해 구제 제도가 생긴 이후 8년이 지났다"며 "그동안 식약처는 피해 구제 제도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더구나 제도가 있다는 것을 앵무새처럼 말하면 그것이 홍보인가. 애초에 의지가 없으니 홍보 전략조차 제대로 세우지 못한 것이다. 그 사이 국민들은 의약품 부작용을 겪어도 제도의 혜택을 피부로 느끼지 못했고 결국 제약사 부담금 278억이 쌓였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