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이권구 기자] 올해 머크 ‘키트루다’가 글로벌 의약품 매출 1위를 차지하고, 매출 1위 제약사는 화이자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또 위드코로나 정책에 따라 코로나 백신 매출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글로벌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Evaluate Pharma'가 업계 전문가 15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을 조사해 최근 발표한 ‘2023년 글로벌 매출 상위 예상 의약품’을 인용해 10일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단일항체치료제 및 백신이 2023년에도 가장 높은 매출액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2023년 글로벌 매출 1위 제품은 지난해 1위 제품인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Comirnaty)를 제치고 머크(Merck) ‘키트루다’(Keytruda)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코미나티는 그간 1위를 차지했던 애브비 ‘휴미라’(Humira)를 제치고 2021년부터 1위를 기록한 제품이다.
키트루다는 2023년 한해에만 전년 대비 30억 달러 매출 증가가 예상되며, 머크 PD-(L)1 면역항암제 매출 총액은 올해 약 238억 달러로 전망된다.
키트루다는 전 세계적으로 1,000건이 넘는 병용 임상을 통해 18개 암종 38개 적응증에서 암 치료제로 승인을 받았으며, ‘22~’25년 임상 3상 14개를 시행하면서 수술 전·후 추가 적응증 확장을 노리고 있다.
#제2형당뇨병-비만치료제 ‘Ozempic’,‘Wegovy’ ‘Mounjaro’ 큰 폭 상승 예상
한편, 세계 각국 위드 코로나 정책에 따라 코로나19 백신 수요가 감소하면서 코로나19 백신은 베스트셀러 순위에서 점차 내려가고, 특히 출시 20년이 되는 휴미라 경우 2023년 1월부터 시작되는 바이오시밀러와 경쟁에 직면하며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얼마나 빠르고 많이 감소할 지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올해 전년(2022년) 대비 가장 많은 매출 증가가 예상되는 의약품도 카트루다로 예상됐다. 이어 사노피 및 리제네론 ‘듀피젠트’(Dupixent)로 전년에 비해 20억 달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전년비 매출 증가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에는 노보 노디스크 ‘오잼픽’(Ozempic)과 일라이 일리 ‘마운자로’(Mounjaro)가 상위권에 포함됐다. 이 제품은 각각 전년비 매출 20억 달러 및 19억 달러 증가가 예상되며 가장 주목해야 할 의약품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올해 전문의약품 매출 상위 및 전년 대비 큰 매출 상승 예상 기업은 화이자로, 코로나19 백신과 항바이러스제가 계속 큰 매출 발생 원동력이 되며 머크와 노바티스를 포함한 경쟁사보다 매출액이 훨씬 앞설 것으로 전망됐다.
2위는 강력한 키트루다 매출을 기반으로 한 머크가 차지하고 존슨앤존슨, 노바티스, 애브비, 로슈, BMS, 아스트라제네카, 사노피, GSK가 전문의약품 매출 상위 10대 기업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가장 많은 신규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회사는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가 포함됐다. 이들 기업은 제2형 당뇨병 및 비만 치료제 ‘Ozempic’,‘Wegovy’ 및 ‘Mounjaro’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인큰 매출 상승이 예상된다.
또 일본 다이이찌산쿄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Enhertu)를 통해 HER2 유방암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