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한의약의 분류체계를 확립해 포지셔닝을 확실히 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는 7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고 국회의원 김태홍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과 홍미영 열린우리당 전통의학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주최한 ‘한의약 연구개발사업의 현황과 전망’이라는 공청회에서 확인됐다.
이날 공청회에는 지정토론 패널로 보건복지부 한방산업팀장 등 정부관계자와 대한한의사협회 기획이사 및 한의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한의약 R&D를 계획하고 예산을 책정하는 정부 측과 R&D지원을 받는 연구자 측은 현재까지의 지원 내용 및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평가를 내렸다.
연구자 측에서는 각 부처별 R&D지원이 산업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신약개발 등에 국한돼 천연물 신약 등 한약(재)에만 몰리고 있어 진정한 한의약에 투자된 금액은 정부 측 발표보다 훨씬 적다고 지적했다. 한의약의 범위는 한약, 한방의료, 한방자원을 포괄하는 전통적으로 내려온 한의학을 기초로 한 의료행위라는 것.
또한 한의약의 안전성, 규격화, 제형제 변화를 원하는 R&D 수요자들의 요구가 덜 충족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분야 성과를 평가할 때 제품화 및 자연과학적 기전연구와 SCI논문을 기준으로 하는 것도 부적절하다는 것. 국가차원 R&D지원 근거는 한의약치료기술의 국민건강 기여도에 둬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정부 측도 한의약 분류체계를 확실히 해야 큰 계획 틀 속에서 포지셔닝을 할 수 있고, 우선 순위를 잡고 합의해나가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서만 정밀한 기획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장기간 계획을 실시함에 있어 단계별 성과물이 계속 나와야 국민들을 설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임상시험 활성화를 통한 과학화, ▷한약재 및 변증진단 표준화를 통한 표준화, ▷진료지침 개발 통한 현대화, ▷한약제제 개발 통한 세계화가 한의약 R&D전략으로 제시됐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