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유달라 교수가 파킨슨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유달라 교수가 파킨슨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행복물질로 불리는 도파민이 부족하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노인성 뇌질환이 바로 파킨슨병이다. 파킨슨병은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이에 따라 치매, 뇌졸중과 함께 3대 노인성 뇌질환으로 꼽히는 파킨슨병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오는 4월 11일 ‘세계 파킨슨병의 날’을 맞아, 경희대학교병원 신경과 유달라 교수와 함께 파킨슨병의 증상과 치료, 예방법에 대해 들여다봤다.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의 감소로 인해 운동장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이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발병 연령은 50대 중반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실제로 보건의료빅데이터에 따르면 파킨슨병 환자 수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10년 전보다 약 1.5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킨슨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행동이 느려지는 서동, 손이나 발의 떨림, 근육의 뻣뻣함(경직), 자세 불안정, 보행장애 등이 있다. 그런데 이보다 먼저 변비, 우울증, 심한 잠꼬대와 같은 비운동성 증상이 수년 전부터 나타나는 경우도 많아 조기 진단의 단서가 될 수 있다. 유 교수는 환자마다 증상이나 발현 시기, 진행 양상이 모두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한쪽 팔다리부터 떨림이나 경직, 느린 행동이 나타나는 양상이 흔하다고 설명한다. 또한,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고 여러 증상이 복합적으로 동반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노화로 착각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며, 불편함이 크지 않더라도 신경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볼 것을 권했다.

파킨슨병의 치료 목적은 완치가 아니라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현재로서는 소실된 도파민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 없기 때문에 약물치료, 운동, 수술적 치료 등을 병행해 증상의 진행 속도를 늦추고 불편함을 줄이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진단은 주로 환자의 운동 증상, 신경학적 진찰 결과, 병의 진행 양상, 약물 반응 등을 종합해 이뤄진다. 서동 증상과 함께 떨림이나 경직이 동반되며, 특정 약물을 투여했을 때 증상이 호전된다면 파킨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필요 시 뇌 자기공명영상(MRI)이나 도파민 운반체 양전자단층촬영(PET) 검사가 시행되기도 한다.

유 교수는 약물 치료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때 시작하지만,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상태에 따라 조기에 최소한의 약물 투여가 이뤄지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사용되는 약물로는 체내에서 도파민으로 전환되는 레보도파, 도파민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도파민 효현제, 도파민 분해를 억제하는 약물, 도파민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 등이 있다. 하지만 유병 기간과 치료 기간이 길어질수록 약물의 효과 지속 시간이 짧아지고, 약효가 들쑥날쑥해지며 몸이 꼬이거나 비틀리는 이상운동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약물 조정만으로 호전되지 않는다면 뇌에 전극을 삽입해 전기 자극을 가하는 뇌심부 자극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운동 역시 파킨슨병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 교수는 가능한 매일 30분가량 숨이 찰 정도의 강도로 운동할 것을 권했다. 식후에 산책하거나 틈틈이 맨손체조를 통해 근력을 강화하고 관절을 이완시켜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방과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운동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세 가지 간단한 체조가 추천된다. 첫째, 두 팔을 앞으로 뻗은 상태에서 머리 위로 쭉 펴 올렸다가 다시 내리는 동작은 전신 스트레칭에 좋다. 둘째,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한쪽 무릎을 천천히 가슴 쪽으로 굽혔다가 펴는 동작은 허리와 다리 유연성을 높인다. 셋째, 의자 등받이를 잡고 선 자세에서 발꿈치를 들어 올렸다 내리는 동작은 하체 근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파킨슨병은 삶의 후반부에 불현듯 찾아와 오랜 시간 동행하는 질환이다. 하지만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꾸준한 운동만으로도 충분히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자연스러운 노화로 여기지 말고 증상이 작더라도 적극적으로 의료기관을 찾아 진단과 치료를 받는 자세다.

 

이대목동병원 방은경 교수팀 최희선 전임의, ‘2025년 AO Student Travel Grant’ 수상

사진. 이대목동병원 치과치주과 최희선 전임의(앞줄 오른쪽 첫 번째)와 Academy of Osseointegration 참석자들.
사진. 이대목동병원 치과치주과 최희선 전임의(앞줄 오른쪽 첫 번째)와 Academy of Osseointegration 참석자들.

이대목동병원(병원장 김한수) 치과치주과 방은경 교수팀의 최희선 전임의가 ‘2025년 미국치과임플란트학회(Academy of Osseointegration, AO) 연례학술대회’에서 ‘2025 Student Travel Grant’ 수상자로 선정됐다. 학술대회는 지난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미국 시애틀 워싱턴 컨벤션센터(Seattle Convention Center)에서 개최됐다.

AO Student Travel Grant는 논문 초록의 연구 완성도와 주제의 적합성을 기준으로 우수한 학생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올해는 전 세계 지원자 중 30명이 선정됐으며, 국내 수상자는 최 전임의가 유일하다.

최희선 전임의는 방은경 교수의 지도 아래 ‘치과 보철물, 천연 치아 및 임플란트의 비교 미생물 프로파일링: NGS 기반 연구(Comparative Microbial Profiling in Dental Prostheses, Natural Teeth, and Implants: An NGS-Based Study)’를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해당 연구는 수복 재료에 따른 구강 미생물 군집의 차이를 분석한 것으로,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초자료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방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다양한 수복물을 모두 보유한 환자만을 선별해 수복 재료에 따른 구강 미생물 군집의 차이를 분석한 유일한 연구”라며 “환자 개별 특성을 배제하고 수복물 자체의 영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며, 향후 다양한 확장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 전임의는 “방은경 교수님과 치과보철과 박은진 교수님의 지도와 자문 덕분에 이번 수상이 가능했다”며 “국제 학술대회에서 연구를 발표하고 다양한 연구자들과 의견을 교류할 수 있었던 뜻깊은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도 연구와 임상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말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