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김태일 기자] 비피도(대표이사 이원범, 박명수)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변상균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여성 질 건강 개선을 위한 인체유래 유산균 조성물 특허를 획득했다. 특허 명칭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HHuMin-U를 포함하는 질염 또는 외음부염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며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비피도의 독자적인 마이크로바이옴 가속화 플랫폼(MAP)을 통해 선발된 균주를 기반으로 질염 및 외음부염 개선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인간 질 상피세포 및 동물 모델을 활용해 인체 유래 유산균인 HHuMin-U이 질염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HHuMin-U는 질염의 주요 원인균인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 작용을 확인했다. 또한 상피세포의 항균 펩타이드 발현을 촉진하고, 유해균으로 인한 질 상피세포의 손상을 억제시키는 효과도 확인됐다. 더불어 질강 및 경구 투여 동물모델 실험에서 질염 유발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도 확인한 바 있다.
HHuMin-U는 요로 내 대장균 부착 억제를 통한 요로감염 치료 특허를 이미 보유하고 있으며, 항노로바이러스 효과에 대한 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HHuMin-U는 여성 건강뿐만 아니라 소화기 및 면역 건강 등 다양한 분야로 응용 가능성이 확장되고 있다.
비피도 관계자는 "이번 특허는 여성 질 건강 개선과 관련하여 항생제나 화학제를 사용하던 기존 치료 방식에서 미생물 기반 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미생물 기반 기술을 활용해 더욱 폭넓은 건강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며, 기능성 소재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질염과 외음부염은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흔한 염증성 질환이다. 정상적인 질 내 미생물 균형이 유지되면 유산균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남용,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등으로 질 내 미생물 균형이 깨지면 유해균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질 내 미생물 균형을 회복하고 유지하는 것은 질염 및 외음부염 예방과 치료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여겨진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