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왼쪽부터) 고대안산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최준 교수, 임강현 박사

뇌파 데이터가 이명을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명은 전 세계 인구의 약 14%가 겪는 흔한 청각 장애이지만, 객관적인 진단 기준이 부족해 주로 주관적 설문이나 환자 보고에 의존하고 있다.

고대안산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최준 교수팀(팀원: 임강현 박사)은 한양대학교 ERICA ICT융합학부 김성권 교수팀(팀원: 김지후, 김의진 연구원)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명 환자 24명과 건강한 대조군 24명의 뇌파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명은 뇌의 신경 활동, 인지적 처리, 정서적 상태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뇌파 데이터를 활용하면 이명을 진단하는 데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명 환자군과 대조군의 뇌파 데이터에서 N2, P3라는 뇌의 자극 반응 신경 신호를 추출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이명 환자는 새로운 자극을 인지하고 반응하는 데 시간이 더 걸렸고(N2 지연), 외부 자극에 집중하거나 그 중요성을 판단하는 능력이 저하(P3 진폭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뇌의 특정 영역에서 신경 활동 변화를 비교한 결과, 이명 환자에서는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측두엽,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후두엽, 감정을 조절하는 섭엽 등에서 신경 활동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뇌파 특성과 우울 점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이명이 신경적 영향뿐만 아니라 정서적 상태와도 잠재적으로 연관이 있음을 밝혀냈다.

특히 연구팀은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이명 진단 모델을 사용해, 뇌파 데이터가 이명을 진단하는 객관적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가능성을 입증했다.

최준 교수는 “이명은 단순히 청각적 문제를 넘어 신경적, 인지적, 정서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질환”이라며 “연구를 통해 이명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만성 이명환자에서 사건 발생전위를 통한 이명과 인지기능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Machine Learning-Based Diagnosis of Chronic Subjective Tinnitus With Altered Cognitive Function: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은 올해 1월, 청각학 및 언어치료학 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저널 Ear and Hearing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고려대병원 김영훈 교수, 하버드 주최 부정맥 심포지엄에서 亞 대표 연자로 활약

고려대학교병원 부정맥센터 김영훈 교수가 2025년 1월 16일부터 18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제30회 국제 심방세동 심포지엄(30th Annual International AF Symposium)’에서 아시아 대표 연자로 참여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심포지엄은 하버드 MGH(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가 주관하고 존스홉킨스, 클리블랜드클리닉, 메이요클리닉, 스탠포드 등 세계 최고의 부정맥 전문가들이 모여 심방세동의 혁신적 치료법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권위 있는 국제학술 행사다. 김영훈 교수는 한국과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초청받아 최신 지견을 나눴다.

김영훈 교수는 ‘지속성 심방세동 관리와 뇌졸중 예방’을 주제로 발표하며, 심방세동 환자들의 다양한 합병증에 대한 최신 치료법과 예방 전략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심방세동 치료는 모든 환자에게 일률적인 치료법이 아닌, 환자의 상태에 맞춘 세심한 접근과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핵심”이라며, 복잡한 사례에 맞춘 맞춤형 치료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고려대학교병원 부정맥센터 김영훈 교수는 이번 심포지엄에서 세계 유수 기관의 석학들로부터 주목받으며, 글로벌 의료 커뮤니티에서 국제적인 위상을 더욱 확립했다. 앞으로도 심방세동과 뇌졸중 예방에 관한 연구와 치료 개발에 매진하며, 국제 학계와 의료 현장에서 영향력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고대안산병원 김재환 교수, 국민 보건 향상 기여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수상

사진. (왼쪽부터) 이진우 대한의학회장(대리 수여), 마취통증의학과 김재환 교수
사진. (왼쪽부터) 이진우 대한의학회장(대리 수여), 마취통증의학과 김재환 교수

고려대학교 안산병원(병원장 권순영) 마취통증의학과 김재환 교수가 지난 23일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열린 대한의학회 2025년도 정기총회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김 교수는 20년 넘게 대한마취통증의학회에서 활동하며, 이사장 재임 중 학회의 공식 학술지를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과학인용색인) 학술지로 등재시키는 등 학회 발전과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한의학회는 국내 최고 권위의 순수 의학 학술 단체로, 193개 회원 학회 중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회원을 선정해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대상자로 추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지난 2021년 학회 이사장 재임 당시, 대한마취통증의학회의 공식 학술지인 *KJA(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를 국제 SCIE 학술지로 등재시키며 학회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또한 학회 공식 교과서인 마취통증의학 개정 4판 발행, 학회 내 환자안전위원회 및 윤리위원회 발족, 전공의 연차별 수련 교과 과정 체계화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학회의 발전을 이끌었다.

김 교수는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게 되어 매우 기쁘고, 이는 대한마취통증의학회와 고대안산병원의 끊임없는 지원과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앞으로도 국민 건강 증진과 마취통증의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김 교수는 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과 교수와 고대안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과장을 맡고 있으며,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논문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박준은 교수, 아동학대예방 릴레이 캠페인 동참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박준은 소아청소년과 교수 겸 병원학교장이 1월 13일 ‘아동학대예방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했다.

이번 캠페인은 보건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이 주관하는 행사로, 아동학대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아동을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하는 긍정적 양육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시행됐다.

박준은 교수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는 전문 분야의 의료진들이 상주하며 환아들의 신체적 회복을 돕고, 장기 입원 환아를 위해 병원학교를 운영하는 등 아동의 성장을 돕고 있다”며, “소아청소년의 건강을 지키는 의료진으로서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아동을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박준은 교수는 성북우리아이들병원 유병근 병원장의 지목을 받아 이번 캠페인에 동참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