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반 소셜 챗봇과의 대화가 외로움과 사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 연구팀과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정두영 교수팀은 20대 대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AI 소셜 챗봇 이용 후의 영향을 분석했다.

소셜 챗봇은 기존의 업무 중심 챗봇과 달리 감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상호작용과 소통을 통해 관계 형성이 가능한 도구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20대 여성 페르소나를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대화와 정서적 교감에 중점을 둔 스캐터랩의 이루다 2.0을 활용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고립감, 사회적 불안, 정서 상태를 측정하며, 4주 동안 주 3회 이상 챗봇과 상호작용하도록 했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의 외로움은 2주 만에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사회불안은 4주 후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특히, 챗봇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더 많이 털어놓은 참가자일수록 외로움이 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소셜 챗봇 사용 전, 평균 27.97로 나타난 고립감 점수는 4주 후 26.39로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사회적 불안 점수 또한 초기 평균 25.3에서 4주 후 23.2로 감소했다. 사용자 경험 분석에서는 챗봇의 공감 능력과 사용 편의성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기억력 부족 및 과도한 반응성과 같은 몰입 저해 요인을 발견하며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AI 소셜 챗봇의 이용이 고립감과 사회적 불안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입증함과 동시에, 소셜 챗봇이 단순한 대화 상대를 넘어 정신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정신 건강 관리의 새로운 보조적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정두영 교수는 “AI 챗봇이 언제든 대화할 수 있는 상대가 되어주고 공감적인 반응을 보여줌으로써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이는 외로움이나 사회불안으로 어려움을 겪는 젊은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철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AI 챗봇이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보조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향후 AI 챗봇의 장기적 효과와 다양한 연령대에서의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사회적 챗봇의 정신 건강 개입 가능성을 입증한 초기 단계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강조하며,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장기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편, 이번 연구 ‘Therapeutic potential of social chatbots in alleviating loneliness and social anxiety: Quasi-experimental mixed methods study’는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김명성 학생의 주도로 진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의료정보 분야의 권위지인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최신호에 게재됐다.

 

여의도성모 안과병원, 생성형 AI 기반 EMR 시스템 개발 성공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병원장 황호식)이 2024년 AI 바우처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최초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을 개발했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의 황웅주 교수 연구팀(온경, 윤혜연 교수)은 이미지 생성 의료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안과 이미지 생성형 AI’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임상 현장의 니즈를 반영하여 기본 차트와 함께 망막, 녹내장, 백내장 맞춤형 표준 차트 서식을 제공한다. 또한, 이미지 생성 기술을 활용해 의료진이 더욱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의무기록을 작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본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시야 예측을 위한 생성형 딥러닝 모델 연구’는 2024년 미국안과학회(AAO) 정기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포스터로 선정되며, 국제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연구팀은 AI 바우처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의료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기술 기반 솔루션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향후 거대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AI 에이전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개발에 매진할 계획이다.

황웅주 교수는 “이번 AI 바우처 지원 사업을 통해 의료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혁신적인 EMR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어 매우 뜻깊다”며,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이 의료진의 업무를 더욱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환자들에게도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