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약재 관리를 현 의약품수준으로 높이겠다는 목표아래 20억을 투자하는 한약재 과학화 사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기획예산처(이하 예산처)는 한약재의 품질 향상과 불량한약재 유통 방지를 위해 한약재 과학화사업을 본격 추진키로 하고 내년에 20억원의 예산 투입일 시작으로 향후 10년간 한약재 유통체계를 대폭 개선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예산처는 고령화 추세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안전하고 질 좋은 한약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커지고 있으나 식품으로 수입된 한약재가 국내에서 의약품으로 둔갑하고 오염된 저질 한약재가 사용되는 등 유통질서가 어지러워 한약재 과학화사업을 펼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한약재 과학화' 사업은 △의약품과 같은 수준의 관리체계를 갖는 것을 목표로 유효 및 독성 성분 확인을 기초로 품질표준을 마련하고 관리하는 '한약재 규격화' 사업 △중금속·잔류농약 등 유해물질에 대한 모니터링과 위해성 평가를 바탕으로 안전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한약재 위해관리' 사업 △한약재의 유통기한, 품질표시, 생산·제조·유통과정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한약재 표시·품질 등급화' 사업 등이다.

정부는 한약재 과학화 사업을 통해 한약재 품질 향상과 안전성 확보는 물론, 한약재·생약제제에 대한 제조·관리·약효·독성·임상관련 분야의 과학기술과 한약재 유통(수세, 건조, 수송, 저장, 표시, 판매 등) 등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는 한편 1,000억 달러에 이르는 세계 한약재 시장에서 국내산 한약재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예산처 관계자는 "앞으로 이 사업은 국내생산 한약재, 수급조절 한약재부터 사업을 착수한 뒤 그 성과에 따라 다소비 한약재 100여 품목 등에 대해 연차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수급조절 한약재는 구기자, 당귀, 맥문동, 하수오, 천궁, 황귀, 오미자, 산수유 등 18종으로 생산농민 보호를 위해 평시에는 수입을 제한하고 품귀·가격 폭등 시에는 일정량의 수입을 허용하고 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