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YMCA의 한의원 한약값 조사에 대해 한의사단체가 원가산정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청년한의사회는 지난 23일 한약원가에 대한 연구기관의 과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실제 한약원가는 관행수가의 47.8%~79.1%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청한에 따르면 관행수가는 평균 10만7,462원~13만9,222원이고 이중 한약원가는 5만8,364원~9만2,000원 사이.

서울 YMCA의 경우 약재비만 고려했지만 한약원가 산정에는 수치료, 관리비, 보조인력인건비,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것이 청한의 주장.

지난 1996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에서는 9만2,000원으로 한약원가를 제시하고 있다. 이 원가에는 첩당 가격에 약재비 이외에 수치료, 방제기술료, 조제료, 관리운영비를 포함해 산정돼 있다. 1997년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의 연구에서는 7만2,615원에서 8만4,724원 사이에서 적정 한 제당 가격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97년 안건회계법인에서의 1차 연구에서는 첩약원가가 6만5,228원에서 8만5,028원이고 방제기술료를 포함할 경우 8만3,275원에서 10만6,033원이고, 1999년 2차 연구에서는 첩약원가는 5만8,364원에서 5만9,479원으로 대체소득과 투하자본이익을 합한 첩약가격은 9만4,000원~9만5,000원이다.

반면 첩약의 관행수가는 20첩 1재 기준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12,000원, 안건회계법인 1차연구는 10만7,462원~11만8,571원, 안건회계법인 2차연구는 11만3,000원~12만2,103원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자료를 토대로 종합하면 실제 한약원가는 관행수가의 47.8%~79.1% 수준이라는 것이 청한의 주장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