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팜뉴스=김태일 기자]아모레퍼시픽이 전체 직원 중 여성 비중이 70%를 넘어 주요 기업중 여성 직원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KT는 여직원 중 관리자급만 70%에 육박했고 바이오 기업으로는 SK바이오팜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여성 직원 비율이 30%를 넘겼다.
한국 CXO연구소가 발표한 ‘2020년 기준 국내 주요 기업 여성 직원 인원 및 여성 관리자급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주요 대기업 내 여성 직원 비중은 4명 중 1명꼴 수준이었고, 여직원 중 30% 정도는 과장급 이상 관리자 직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ESG보고서(이하 ESG보고서) 등을 제출한 100여 곳 중 여성 직원 인원과 과장급 이상 관리자급 여직원 수(數) 등을 명시한 43곳이다. 여성 관리자 숫자는 밝히지 않고 해당 비율만 공개한 기업 등은 정확한 인원 집계가 어려워 이번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조사 기준은 2020년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40여 곳 주요 대기업에서 지난해 책임졌던 전체 임직원 수는 35만 5000여 명으로 파악됐다. 이 중 남성은 27만 2000여 명으로 전체 고용 인력의 76.8%, 여성은 8만 2000여 명으로 23.2%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대상 기업 40여 곳 중 절반이 넘는 24곳은 여직원 비중이 20% 미만이었다. 이중 전체 임직원 수가 1만 명이 넘으면서 여성 인력 비중이 10% 미만인 회사 중에는 현대차(5.6%)와 기아(3.9%)도 속했다. 현대차가 제출한 ESG 보고서에 의하면 작년 국내 전체 임직원 수는 7만 2000명이 넘었는데, 이중 여직원은 4000명 정도였다. 기아 역시 3만 5000명 넘는 직원 중 여성 인력은 1400명 미만으로 다소 비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비중 절반 넘는 기업 6곳, 아모레퍼시픽 74.8% 가장 높아
이번 조사에서 여성 직원 비중이 절반을 넘는 기업은 6곳으로 나타났다. 여직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아모레퍼시픽’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회사의 경우 지난 해 전체 임직원 수는 1만 800명을 상회했다. 이 중 남성은 2729명인데, 여성은 8117명으로 확연하게 차이났다. 여성 직원 비중만 74.8%로 높았다. 화장품 전문 업체라는 특성 때문에 여성 인력이 10명 중 7명 이상 차지했다.

하나은행도 1만 2000명이 넘는 직원 중 여성은 7300여 명으로 60.5%로 높은 편에 속했다. 이외 ▲SK매직(56.4%) ▲기업은행(54.5%) ▲미래에셋생명(51.4%) ▲우리은행(50%) 등도 여성 인력 비중 50% 이상되는 기업군에 이름을 올렸다. 그만큼 女직원의 회사 기여도가 다른 기업들에게 비해 높다는 의미다.
여직원 비중이 30%를 넘는 곳으로 범위를 넓혀보면 6곳이 포함됐다. ▲대한항공(44.6%) ▲신한금융그룹(44.4%) ▲SK바이오팜(44.3%) ▲삼성화재(44.1%) ▲삼성바이오로직스(39.3%) ▲SK네트웍스(35.7%) 등이 포함됐다.
국내 고용 1위 기업 삼성전자의 작년 기준 여직원 비중은 25% 내외로 다소 높았다. 하지만 사업보고서에 명시된 국내 임직원 수를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2010년~2020년까지 최근 10년 간 성별(性別) 현황을 살펴보면 여직원 비율은 다소 낮아지는 흐름을 보였다. 지난 2010년 기준 삼성전자 전체 직원 중 여성 인력 비중은 33%로 파악됐다. 당시 여직원 비중은 전체 임직원 3명 중 1명꼴이었다. 10년이 지난 2020년에는 25.9%로, 4명 중 1명꼴로 떨어졌다. 2017년 이후 여직원 인원은 증가했지만 상대적으로 남성 직원을 더 많이 채용한 영향이 컸다. 삼성전자의 경우 최근 3개년 국내외 전체 임직원 수를 놓고 보더라도 상황은 비슷하다. 2018년 43%→2019년 40.2%→2020년 37.3% 순으로 국내외 임직원 중 여성 비중이 다소 하락했다.
◆ KT, 여성 직원 중 관리자급 인원만 2700여 명…68.9%가 여성 관리자급 해당
여성 직원 중 과장급 이상 관리자급 직위에 해당하는 비중이 높은 곳은 케이티(KT)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회사는 지난 해 2만 2700명이 넘는 전체 직원 중 여성은 17.8%에 해당했다. 여직원 수는 4036명. 전체 직원 중 여직원 비율만 놓고 보면 그리 높은 편은 아니었다. 그런데 4000명 정도 되는 여성 직원 중 68.9%인 2700여 명이 과장급 이상 관리자급 직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T 여직원 10명 중 7명 정도는 과장급 이상 명함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2700여 명의 관리자 중에서도 6.7%(186명)는 부장과 임원과 같은 상위관리자급에 해당됐다.

하나은행도 7300명이 넘는 여직원 중 관리직에 해당하는 비중이 4500명 이상으로 60%를 넘어섰다. 임원으로 진출하는 여성 후보군이 두텁게 형성되어 있다는 의미다. SK(주) 역시 지난 해 900명 정도 되는 여직원 중 관리자급 인원은 470여 명으로 52.1%로 조사됐다.
이외 여성 직원 중 관리자급이 30%가 넘는 기업에는 7곳이 추가됐다. ▲우리은행(47.4%) ▲신한금융그룹(45.3%) ▲효성(39.8%) ▲금호석유화학(39.2%) ▲SK머티리얼즈(34.7%) ▲S-Oil(33.6%) ▲효성중공업(31%)가 이들 그룹에 포함됐다.
특히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모집단을 전체 관리자급 인원으로 바꿔 살펴보더라도 여성 관리자급 비율이 40%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은 남녀 전체 1만 명이 넘는 관리자급 중 여성 비율은 44.1%나 됐고, 우리은행 역시 40.7%로 높은 편에 속했다. 신한금융그룹은 29.5%로 나타났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향후 지속적으로 여성 임원이 증가하려면 신규 채용 때 여성 인력 비중을 높여 전체 여직원 수를 점차 늘려나가면서 임원 후보군에 해당하는 관리자급으로의 진출률도 높아져야 여성 임원도 많이 탄생할 수 있다”며 “특히 남녀 관리자급 인원과 비율 현황 등은 사업보고서 등 정기보고서에도 공통 기재하도록 제도를 보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대기업 중 상당수는 제조업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 신규 인력을 뽑거나 경력자 등을 충원할 때 이공계 인력을 더 선호할 수밖에 없다”며 “고교생 여학생 중 이공계열 학과로 진학하는 비중이 높아져야 대기업 등에서도 능력있는 이공계열 출신 여성을 더 많이 선발하고, 이 중에서 차후에 임원과 CEO 자리까지 오르는 이들이 많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