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 반려동물 신약개발 특집 가족이 된 반려동물…But 여전히 부족한 반려동물 '전용' 의약품 안전성평가연구소 반려동물신약개발사업단 한수철 단장 인터뷰 큐라클 전략기획실 전현주 차장(인의약품 CU06 반려동물 의약품 확장 프로젝트 총괄) 인터뷰 반려동물이 우리 삶에서 가족과 다름 없는 존재가 되면서 이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고령 반려동물의 경우, 마치 사람처럼 고혈압, 녹내장, 심장병, 암 등 다양한 질환들이 발생한다.그 중에서도 만성신장질환(CKD)은 반려견 및 반려묘 모두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약사신문 창간 38주년 특집 높아지는 불확실성, 2025년 국내 제약업계 영업마케팅 전략은? -상편- 높아지는 불확실성, 2025년 국내 제약업계 영업마케팅 전략은? -하편- 대웅제약이 쉽고 편한 길 대신 '낯설고 어려운 길'을 택한 이유 50년 역사를 발판 삼아 보다 새롭고 역동적으로 젊어지는 보령 '겔포스' 국내 최다(最多) 신약개발 동아에스티, 글로벌 신약 '리딩 컴퍼니'로 거듭난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국내 제약영업에 거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글로벌 주요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국내 제약사들 역시 비대면 채널을 적극 도입했지만,
팜뉴스 반려동물 신약개발 특집 가족이 된 반려동물…But 여전히 부족한 반려동물 '전용' 의약품 안전성평가연구소 반려동물신약개발사업단 한수철 단장 인터뷰 큐라클 전략기획실 전현주 차장(인의약품 CU06 반려동물 의약품 확장 프로젝트 총괄) 인터뷰 최근 들어 우리나라를 비롯해 글로벌 주요 국가에서 반려동물을 보유한 가구들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노령화·노령묘에 대한 관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수공통 감염병'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필요성 등이 제기되며 반려동물용 의약품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주목할 점은 국가가 직접 나서 반려동
ALYGLO는 GC녹십자 고유의 R&D 노하우를 바탕으로 개발한 정제 공정 기술로 생산한 제품으로 혈액응고인자 등 불순물 제거율을 높여, 이미 국내 및 해외시장에 출시되어 활발한 매출이 있던 면역글로불린 완제품을, US FDA 허가 목표로 GMP 및 품질을 업그레이드하여 개발한 바이오의약품이다.# ALYGLO US FDA 도전ALYGLO는 2015년 US FDA Pre-IND meeting 후 임상 3상을 진행하고 2020년 pre-BLA meeting 이후 2021년 생물학적제제 품목허가 신청 (Biological License
팜뉴스 반려동물 신약개발 특집 가족이 된 반려동물…But 여전히 부족한 반려동물 '전용' 의약품 안전성평가연구소 반려동물신약개발사업단 한수철 단장 인터뷰 큐라클 전략기획실 전현주 차장(인의약품 CU06 반려동물 의약품 확장 프로젝트 총괄) 인터뷰 1인가구 증가와 저출산, 고령화 시대 등 사회적 환경이 변화하면서 가족 대신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는 이른바 '펫팸족(Petfam族, Pet+Family)'이 늘어나고 있다.과거에는 단순히 애완동물을 집에서 기르기만 했지만 이제는 평생을 함께하는 가족이라는 개념이 자리 잡았고, 최근 들어서는
3월입니다. 꽃샘 추위가 가끔 훼방을 놓지만, 캠퍼스는 시작과 활기가 넘쳐납니다. 신입생들에게 학교는 새집과 같겠지요. 누구나 처음에는 새로운 환경에 낯설기 마련입니다. 비록 낯설지만, 어느새 정붙이고 즐겁게 살고 싶어지는 그런 집처럼 말입니다.성인이 되어 가정을 이루고 나이 듦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우리는 집에 대해 어떤 감정을 갖게 될까요? 신혼의 단꿈이 농익어 가던 너와 나만의 집, 아이들의 성장과 온 가족의 웃음소리로 가득 찼던 우리 집, 어느새 독립한 자녀들의 빈 자리가 커 보이는 노년기의 집, 대략 생애주기에 비추어 보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으로 미국 제약·바이오 산업에는 여러 정책적 변화가 예상되며, 전문가들과 매체들은 이러한 변화가 관련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주요한 분석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과제중의 하나인 미국의 약가 인하 정책과 가격 투명성 강화, FDA 승인 절차 간소화 등으로 인해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국내 CRO, CDRO, CDMO 기업들에게 반사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도 있다. 또한, 생물보안법 추진으로 중국 기업의 영향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우수한 과학적 데이터와 규제기관과 효과적인 소통, FDA의 정책 변화와 무관하게 성공적인 임상 진행이 가능할 것"# 뉴라클제네틱스는.뉴라클제네틱스는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Adeno-Associated Virus) 기반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습성노인성황반변성(wAMD) 치료제 NG101과 같은 안과질환 및 신경질환 관련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당사가 자체 개발한 CAT311 프로모터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과 캐나다에서 NG101의 임상
"규제 기관과의 조기 소통도 중요하다. FDA 등 규제 당국과 조기에 긴밀히 소통하여, 임상 설계와 진행 방향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반영해야"# 압타바이오는압타바이오는 혁신 신약 개발에 주력하는 바이오기업으로, NOX 저해제 및 Apta‑DC(압타머‑약물 복합체) 플랫폼을 바탕으로, 당뇨합병증, 급성신장손상, 황반변성, 암등 의학적 미충족 분야의 first in class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임상 중인 ‘아이수지낙시브(APX-115)’는.APX-115는 NOX (NADPH Oxidase) 효소를 저해하여 체내 과도한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