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우정민 기자]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950210)의 R&D 센터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IDC(대표 고상석, 이하 IDC)는 자체 특허 물질인 항-CTHRC1 단클론항체(PBP1710)를 기반으로 한 삼중음성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과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이 주관하는 2025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생태계 R&D 구축 연구사업’ 분야의 후보물질 단계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작된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지난 2021년부터 10년간 국내 신약 R&D 생태계 강화, 글로벌 실용화 성과 창출, 보건의료 분야의 공익 창출 등을 목표로 신약 개발의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선정으로 IDC는 향후 2년간 연구비 지원을 받아 항체신약 PBP1710의 전임상 연구와 공정개발을 추진한다. 관련 연구와 개발 과정이 계획에 맞춰 진행될 예정이다.
PBP1710은 암의 진행과 전이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CTHRC1 단백질을 표적하는 항체 후보물질이다. CTHRC1은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 등 난치성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며, 종양 섬유화와 혈관 신생을 유도해 치료제 침투와 암전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다. PBP1710은 이러한 과정과 관련된 기전을 세포 수준에서 억제하는 연구 결과가 확인된 바 있다. 향후 다양한 고형암 치료 연구에 참고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번 과제는 삼중음성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치료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HER2 단백질이 모두 발현되지 않아 기존 표적치료제의 효과가 제한적이며, 전체 유방암의 약 15%를 차지한다. 재발률과 전이율이 높아 치료 선택폭이 적은 암종으로, 연구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PBP1710은 CTHRC1을 표적하는 기전 연구를 통해 삼중음성유방암의 진행 억제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이어지고 있다.
과제 연구책임자인 강태흥 신약개발본부장은 “이번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은 IDC의 신약 연구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관련 연구 개발을 차질 없이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