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메디컴 로고
이지메디컴 로고

[팜뉴스=김응민 기자] 국내 의료시장에서 일부 구매대행 업체의 정산대금 지급 지연 사례가 반복되어 논란이 되는 가운데, 의료기관의 지급 조건보다 더 빨리 지급하는 조기 집행 제도를 운영하는 업체가 있어 업계의 귀감이 되고 있다. 국내 구매대행시장 거래규모 No.1 GPO(Group Purchasing Organization)인 이지메디컴 이야기다.

이지메디컴은 의료기관과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 등 협력사와의 구매/물류 플랫폼 역할을 담당하는 GPO 기업이다. 일반적인 대금 지급 구조는 통상 의료기관이 납품 받은 물품에 대한 대가를 GPO에 지급하면, GPO는 이를 협력사에 지급하게 되는데, 협력사는 각 의료기관의 정책에 따라 대금 수령 시점이 달라져 종종 장기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해 왔다.

이에 이지메디컴은 상생경영 차원에서 협력사의 유동성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의료기관의 지급 조건보다 앞당겨 대금을 지급하는 조기 집행 제도를 운영해 오고 있다.

이지메디컴은 거래 규모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자체 내부 규정에 따라 병원의 결제 조건과 무관하게 대금을 조기에 결제하고 있으며, 자금 회전이 어려운 협력사의 경우에는 협의를 통해 결제 기간을 앞당겨 원활한 자금 흐름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협력사가 안심하고 공급할 수 있도록 협의된 물품대금 결제 기간을 계약 조건에 명기하는 등 상생경영을 위한 조치도 마련하고 있다.

실제로 이지메디컴은 사립 의료기관의 물품 공급 관련해 약 1,500개 협력업체 중 절반에 달하는 협력사에 의료기관 지급 조건보다 빠른 기한에 전액 현금으로 대금을 지급하고 있다.

이지메디컴은 신속한 결제대금 집행 제도와 더불어, 의료기관이 지불한 정산대금을 협력업체에 당일 지급하는 '협력업체 납품 대금 즉시 지급체계'도 운영하고 있다.

이지메디컴은 "해당 제도는 최근 도입한 조치가 아니라 공급사와의 상생을 위해 오랜 기간 유지해 온 경영 방침"이라며 "특히 협력업체와의 협의를 통한 조기 지급 정책은 회사의 상생 철학을 보여주는 제도"라고 밝혔다.

또한 이지메디컴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상당수 공급업체의 유동성 어려움이 커졌다"며 "대내외 환경과 관계없이 회사의 물품대금 조기 결제 정책을 유지하고, 협력업체와 의료기관의 동반 성장을 위해 다양한 상생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