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장 송미옥]

신종 플루의 항바이러스제와 백신 확보에 대한 논란이 사회적으로 뜨겁다. 최근 한나라당 원희목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감사원은 지난 2007년 질병관리본부 감사를 통해 타미플루 확보를 권고했지만 비축 목표량도 세우지 못했음은 물론 예산 가운데 일부를 여행수첩 제작 등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선진국들은 이미 2007년부터 타미플루를 인구대비 20% 물량으로 확보했다. 이에 반해 우리정부는 2007년 목표량도 없이 인구의 2%인 100만 명 물량만 확보했다. 그 후 올해 8월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가 있은 후 서둘러 타미플루와 백신 확보에 나섰으며 이종구 질병관리본부장이 다국적제약사 본사를 방문해 백신구매를 구걸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현재 정부가 공식적으로 밝힌 항바이러스제 보유량은 253만명분이며 10월까지 들어올 양은 278만명분이다. 연내에 들어올 물량은 500만명 분으로 인구 20%에 해당하는 물량을 모두 채웠다는 것이 복지부 측의 설명이다. 때문에 항바이러스제는 부족하지 않다는 것.

그러나 정부가 확보했다고 하는 500만명분의 타미플루 물량은 계약상황일 뿐, 국내에 들어온 것은 아니다. 내년 1~2월이 돼야 물량이 들어오기 때문에 9월, 10월 신종 플루가 가장 유행하게 되는 시기에는 치료제가 없는 위기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때문에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시민단체 측은 타미플루 강제실시를 발동해 치료제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송미옥 회장은 “9월, 10월, 11월 신종 플루 대유행이 예상되지만 치료제 없이 대유행을 건디어야 되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여전히 로슈의 눈치만 살피고 있다”고 비판했다. 강제실시 발동 후 국내 제약사이 생산할 수 있는 타미플루 제네릭 생산량 조사를 벌인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송미옥 회장을 만나봤다.

국내 제약, 타미플루 제너릭생산 준비 완료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이하 건약)는 지난 8월 31일 21개 국내 제약사에 질의서를 보냈다. 질의서의 내용은 ‘타미플루 복제품 생산 가능 확인’이었다. 건약은 질의서에서 특허법 106조에 의해 강제실시를 시작하면 국내 제약사들에게 매일 일정량의 타미플루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11개 제약사들이 답변을 보냈으며 그 결과 매달 400만명분의 타미플루 공급이 가능하다는 예상치가 산출됐다.

대웅제약은 매월 최대 67만명분에서 80만명분의 타미플루를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SK케미칼은 이미 인도 Hetero社의 API 1.5~2톤 이상을 확보해 둔 상황이에서 4주 이내에 2천만 캡슐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국내 제약사들은 타미플루 제너릭 생산에 대한 준비를 마친 상황이다.

송미옥 건약 회장은 “지난 8월 19일 당정협의에서 식약청장이 ‘국내 제약사들이 제너릭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며 “이는 강제실시를 염두에 둔 발언”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복지부는 위급 시에 강제실시를 발동하겠다는 입장을 보였고 현재도 같은 입장이다.

송 회장은 복지부가 내세우고 있는 위급시라는 기준을 찾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위급하다고 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찾을 수 없다”며 “위급한 상황이라는 것을 구체화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이는 단지 복지부가 로슈의 눈치 보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송미옥 회장은 “사회역사학자인 Mike Davis의 말처럼 전 세계는 로슈의 지적재산권에 인질로 잡혀있는 상황”이라며 “우리 정부도 로슈의 눈치만 보며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부가 지금 강제실시를 발동해도 타미플루를 공급받을 수 있는 시기는 10월이라서 강제실시 발동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송미옥 회장은 “특허청이 최근 민주노동당과 가진 간담회에서도 현행 106조 해석으로 강제실시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다”며 “국민들의 질병치료는 자국의 책임인 만큼 강제실시 발동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WHO도 로슈만 바라보고 있는 상황

이와 함께 송 회장은 WHO의 권고사항에 대해서도 비판을 제기했다. 

WHO가 조류인플루엔자가 유행했을 때 항바이러스 비축을 권고한 바 있다. 각 나라의 인구대비 20% 물량을 확보하도록 했지만 비축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은 언급이 없다는 것이다. 인구대비 20%의 항바이러스제 물량을 비축할 수 있는 것은 현재 선진국만 가능하기 때문에 타미플루 확보가 바로 세계적 관점에서 양극화라고 지적했다.

송미옥 회장은 “지난 4월 멕시코에서 신종 플루가 발생한 후 바로 사망자가 나오고 확산된 것은 초기 치료제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멕시코가 OECD국가임에도 이같은 상황이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는 타미플루 비축이 선진국 중심이기 때문이다. 이미 영국은 인구 대비 150%의 타미플루를 비축했고 백신도 60%확보가 예정돼 있다.

질환관리는 국가별 차원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동남아의 경우는 이번 신종 플루 유행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송 회장은 “WHO도 로슈만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제너릭 보급은 WHO도 방법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만약 국내에서 강제실시가 발동되면 타미플루 제너릭 수출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타미플루 제너릭이 생산되면 비상업적인 수출과 가난한 나라의 기부가 가능하기 때문에 한국이 세계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송 회장은 “정부가 저개발 국가보다 항바이러스제 비축을 많이 하고 있다고 발표하고 있지만 상위그룹에 비해서는 비축량이 부족한 것”이라며 “선진국은 이미 사재기를 통해 충분히 비축한 상태인데 우리는 늦게 시장에 뛰어든 꼴”이라고 비판했다.

항바이러스제 비축량 중 50%는 리렌자

현재 정부가 비축한 물량은 연내까지 500만명 분. 하지만 12월까지는 250만명분의 항바이러스제를 가지고 버텨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이는 계약만 했지 아직까지 국내에 공급이 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송 회장은 “로슈가 24시간 타미플루 생산을 가동하는 것은 선진국을 위한 것”이라며 “이미 타미플루 비축도 선진국이 선점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가 확보한 250만명분의 항바이러스제 중 50%는 GSK의 리렌자라는 것. 리렌자는 흡입제이기 때문에 사용상 제한이 따른다. 이는 타미플루 공급에 문제가 있다는 반증이라는 것이다.

송 회장은 “현재 국내에 확보된 항바이러스제는 타미플루와 리렌자”라며 “타미플루 확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정부가 이 제라도 로슈의 정책에만 의존하지 말고 강제실시를 통해 충분한 타미플루 비축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미옥 회장은 “특허청은 강제실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고 복지부가 결단하면 바로 시행이 가능하다고 밝혔다”며 “대유행이 비껴가기만을 바라지 말고 적극적인 정부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