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이권구 기자]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백신과 치료제 개발로 '레드바이오'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도 레드바이오에 대한 기술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바이오협회가 레드바이오(Red Bio: 바이오 신약,바이오 장기,세포 치료 포함) 2021년 이슈 및 성과와 2022년 전망 및 과제에 대해  국내 주요 레드바이오 기업 의견을 수렴한 결과에 따르면  ‘21년은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로 레드바이오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 한 해로, 전 세계는 코로나19가 지속되며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경쟁적으로 투자해 국가 차원 치료제 및 백신 주권 확보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고, 많은 제약사가 백신 개발 투자에 박차를 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게임 체인저'로 화이자가 절대강자로 부상했으며, 글로벌 공급망 취약성에 대한 해결이 모든 국가 정책 우선순위가 됐다.

CJ그룹 제약산업 진출...삼성 SK LG 등  투자 확대

국내에서도 레드바이오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집중된 한 해였다.

CJ그룹이 제약산업으로 재진출했으며, 삼성, SK, LG 등 대기업 레드바이오 분야 투자가 확대되었음. 또, 코로나19로 백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며, 많은 기업이 백신 개발 투자에 박차를 가했다.

특히 녹십자랩셀, 레고켐바이오, 알테오젠 등 바이오기업들이 대규모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여줬으며,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분야에서 국내 위상이 더 높아진 해였다.

아울러,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백신 인력양성, 바이오 소부장 국산화 등 국내 레드바이오 산업생태계 조성에 시동을 건 해이기도 했다.

다만, 코로나19 백신이 미국에서 1년도 되지 않아 긴급사용 승인을 받음에 따라, 자칫 신약개발이 2~3년 정도면 될 수 있다는 인식에 대한 경계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는  모달리티 확장이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에도 코로나19 영향으로 레드바이오 중요성과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미래 성장동력으로 레드바이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국가와 기업이 증가하고 특히, 세포.유전자치료제, 항체약물접합체(ADC), 엑소좀, 마이크로바이옴 등으로 모달리티가 본격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로 분산형임상, 원격의료, 디지털치료제 등 환경조성 필요

바이오의약품 CDMO 경쟁 구도와 국내 관련 기업 글로벌 경쟁력을 검증할 수 있는 해가 될 것이라고도 예상됐다.

다만, 국내는 엑소좀, 마이크로바이옴 등 신규 모달리티 관련 인허가 가이드라인 준비가 부족하고, 코로나19로 분산형임상, 원격의료, 디지털치료제 등에 대한 환경조성이 필요하다고 평가됐다.

또, 감염병 R&D에 대한 리스크가 여전히 크게 존재하기 때문에 팬데믹과 같이 실패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대해서는 성공불융자 등 획기적 정부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성공불융자는 석유 시추 등 개발 위험도가 높은 사업을 하려는 기업 등에게 필요자금을 빌려주고 사업이 실패하면 융자금 전액을 감면해주고 성공시에는 원리금 이외에 특별부담금을 추가 징수하는 제도다.

협회는 " 국내 주요 기업들은 매출에서 상품 비중이 높아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품 매출 비중을 높일 수 있는 고민을 하고 있다"며 " 메가 펀드 조성 등을 통해 임상 3상을 추진하는 기업이 많아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