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윤희 전 식약처 전 임상심사위원 국회 정책 간담회 발표 모습
강윤희 전 식약처 전 임상심사위원 국회 정책 간담회 발표 모습

[팜뉴스=최선재 기자]  팬데믹이 앤데믹 국면으로 전환됐지만 코로나19 백신 수급 정책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여전하다. 최근 국회에선 우리 정부가 국민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고집한 결과 부작용 피해가 확산됐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는 강윤희 전 식약처 임상심사위원이 21일, ‘백신 부작용 피해보상, 국가의 역할은?'이란 주제의 국회 정책 간담회(정춘숙 의원실 주최)에서 주장한 내용이다. 팜뉴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자료 수집과 현장 취재를 바탕으로, 강 전 위원의 목소리를 아래와 같이 전한다. 

강 전 심사위원 발표 자료
강 전 심사위원 발표 자료

# 한국, 일본에 비해 AZ 백신 사망사례 압도적 

백신은 치료제와 달리 건강한 사람이 질병의 예방을 위해서 접종하는 것이다. 백신의 유효성보다는 안전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이유다. 

그렇다면 저는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했는가" 이런 질문을 던지고 싶다. 팬데믹 초기 우리 정부가 안전성을 숙고해서 백신 접종 정책 결정을 했느냐는 질문이다. 

하지만 일본과 비교하면 "우리 정부가 안전한 백신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관련 통계를 보면 이를 알 수 있다. 자료를 보면 한국은 AZ 백신을 약 2000만회분, 일본은 11만회분 접종했다. 

우리나라는 AZ 백신 이상반응에 의한 사망사례가 398건, 중증사례가 4780건이 보고됐다. 반면 일본은 사망과 중증 사례가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AZ 백신 접종으로 인한 피해가 매우 컸다는 뜻이다. 

이는 한국과 일본의 대응 방식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AZ 백신은 애초에 2만명 대상 임상시험 중 횡단성 척수염이 발생해서 안전성 우려가 있었다. 일본은 AZ 백신에 대한 안전성을 우려해서 1억 2천만회의 접종분을 계약했는데도 불구하고 4천만회를 취소하고 6천만회분은 해외로 무상공여하고 나머지 백신은 폐기 처분했다. 

국민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했기 때문에 상당한 예산을 날리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접종을 포기한 것이다. 

# 유럽 대부분 접종 제한 걸었는데 한국 대통령 "AZ 백신 접종 모범국' 자신

한국의 대응은 유럽과도 차이가 컸다.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가 2021년 2월경부터 AZ 백신 접종을 시작했는데, 오스트리아에서 혈전증이 보고됐다. 노르웨이, 불가리아, 덴마크 등 유럽 대부분 국가들이 AZ 백신 접종을 금지한 이유다.  

그 이후 3월경 이같은 정보가 유럽의약품청(EMA)으로 접수돼 EMA의 약물감시위해평가위원회(Pharmacovigilance Risk Assessment Committee, PRAC)는 AZ 백신 부작용인 혈전증 연구를 시작했다.

결국 독일, 프랑스 등 대부분의 유럽 국가는 3~4월부터 EMA의 검토에 따라 AZ 백신 접종을 중지하거나 50세 이상으로 조정했다.

# 노르웨이 AZ 백신 접종 전격 중단, 아스트라제네카 유럽 철수 위기

유럽 중에서도 노르웨이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부 결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2021년 2월 8일, 노르웨이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시기에 AZ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하지만 오스트리아, 덴마크에서 이상 반응으로 혈전증이 보고되자 자체 조사를 시작했다.  

조사 결과 노르웨이에서도 의심되는 5건의 사례가 있었고, 이 중 3명은 사망했다. 노르웨이 피해보상 전문위원회는 의심사례 5건 중 3건이 백신과 관련이 있다고 결론 내렸고 피해보상을 실시했다.

3월 11일, 노르웨이 정부는 AZ 백신 접종을 전격적으로 중지했다. 한 달 뒤 국가 백신 접종 프로그램에서도 제외했다. 백신 제조사인 아스트라제네카는 노르웨이에서 코로나19 백신으로 인한 사망에 대해 직접 사과했다. 

유럽 국가의 노력들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유럽에서 백신 사업 철수해야 하는 위기를 맞았다. 이는 백신 안전성 이슈에 대해 국가의 시스템이 얼마나 정상적으로 작동했는지 보여주는 모범 사례로 볼 수 있다.  

17일 강윤희 전 식약처 전 임상심사위원이 간담회에 참석 중이다. 

# 한국만 거꾸로, 선제적인 초동 대응 실패

한국은 거꾸로 움직였다. 2021년 6월 우리나라의 대통령은 아스트라제네카 CEO를 면담하면서 "한국은 AZ 백신 접종 모범국"이라고 말했다. 

유럽에서는 혈전증 우려로 접종에 제한을 두거나 중지했지만 한국은 30대 이상 연령층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AZ 백신을 접종했다. 이는 AZ 백신을 개발한 영국 정부의 방향과 일치한 것으로 전 세계로 범위를 넓혀도 한국이 거의 유일했다. 

결국 국내 AZ 백신 접종자는 천만명이 넘었고 2021년 말까지 AZ 백신을 접종했다. 

AZ 백신 임상시험 중 이미 위험 신호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AZ 백신을 선택하고 국가 백신 사업으로 2천만 명 이상에게 접종한 것이다.  

일본과 유럽 국가들은 백신 접종 후 안전성 모니터링을 제대로 시행하고 선제적인 조치를 취한 반면 한국은 정반대의 결정을 하면서 AZ 백신 부작용 피해가 커졌다. 결론적으로, 한국 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서 안전한 백신을 선택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한편 팜뉴스는 이날 국회 간담회 자료와 현장에서 제기된 목소리를 바탕으로, 코로나19 백신 관련 부작용 피해를 연속보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