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오는 8월부터 소아용 폐렴구균백신(PCV)의 공급방식을 총량구매ㆍ현물공급방식으로 전환을 기정사실화하고 백신 제조(수입)사 및 유통업체들과 막판 조율에 들어갔다.

하지만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모두 제도변화에 따른 부작용이 큰 만큼 자신들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 있지만 보건당국이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다.

정부는 의견조율 과정을 거쳤다는 명분을 만들기 위해 관련업계와 공청회에 이어 간담회 등 회의만 계속 열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4일에도 폐렴구균백신 제조(수입)업체와 백신유통업체들이 참석한 가운데 PCV관련 설명회를 가졌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그동안 NIP(국가예방접종프로그램) 백신을 전국 256개 보건소용만 조달 입찰을 통해 일괄구매하고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하는 NIP백신은 의료기관서 직접 구매해 접종토록 했었다.

그런데 정부가 백신의 원활한 수급조절을 위해 PCV도 총량구매ㆍ현물공급방식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웠지만 제조 및 유통업체들은 사전에 철저한 준비없는 강행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연간 1,000억 원 대 시장을 구축하고 있는 PCV(화이자 프리베나13, GSK 신플로릭스프리필드실린지)을 소아청소년과에서 직접 구매해 접종시킨 결과, 일부 의료기관들이 5억 원 과표를 초과함에 따라 세금문제가 발생하자 정부 측에 현물공급을 요구했다는 것. 피내용BCG백신의 공급차질이 발생하자, 경피용BCG백신을 한시적으로 NIP를 적용하면서 현물적용 방식을 시행하고 있다. 경피용BCG의 NIP는 오는 6월 15일로 종료되는데 현물제공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상황.

백신제조업체들은 PVC백신의 공급방식을 전환하게 되면 배송횟수가 현재보다 6배 이상 증가하고 물류부담이 급증한다는 주장이다. 게다가 위탁의료기관들이 폐업하거나 NIP를 탈퇴할 경우 과도한 백신을 폐기해야 하며 보건소의 백신비 지급지연 등 각종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이런 문제에 대한 안전장치를 우선적으로 마련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백신유통업체들은 정부가 PCV는 현물공급으로 하고 다른 NIP백신은 기존 방식으로 하면 혼선만 발생할 수 있다면서 모든 백신의 공급방식을 통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백신유통업체들은 일단 의료기관에 매출 장기를 발행한 후 나중에 반품장기를 끊으면, 유통업체가 다시 보건소로 매출 장기를 재발행, 수금하는 방식으로 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유통업체 차원에서는 그동안 백신공급가격 기준으로 매출이 잡혔는데 정부가 일괄 구매할 경우, 유통마진만 받게 돼 매출이 급감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보건당국은 5개 유통업체들과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방안 등을 검토했지만 이는 담합에 해당될 수 있어 이같은 방안은 철회한 상태다.
 
따라서 당초 7월 2일부터 PCV백신의 현물공급방식을 강행하려 했지만 의견수렴 기간이 더 필요해 오는 8월로 그 시기를 늦추었다.

백신유통업체 한 관계자는 “의사들이 PCV 등 고가백신만 현물공급방식을 주장하고 나머지는 기존 방식을 원하는 이중성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는 의료기관들이 백신대금을 정부로부터 받아 유통업체나 제약사에 결제는 평균 3~5개월 만에 해주면서 자금을 활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이다. 산본의 모병원은 무려 12~13개월 만에 수금해 준다는 것.

이같이 고가 NIP백신 공급방식 변경을 둘러싸고 정부는 8월 강행을 목표로 밀어붙이는 분위기지만 이해관계자들의 계산법이 복잡해 합리적 대안 도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