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되는 첨단의료복합단지(오송, 대구경북) 내 2개의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역할에 약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소관부처인 미래부는 기초연구부터 임상단계까지 단절 없는 R&D 연계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삼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임요업 미래기술과장은 “2014년 미래부의 제약산업 지원방안은 2개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역할 강화라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임 과장은 “기존 국내 신약개발 단계에서 기초연구는 성과가 많이 도출됐지만, 후보물질 도출 등 후속연구로 이어지는 과정이 미흡한 점이 가장 큰 문제였다”며 “이를 보완하고 개선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신약개발지원센터가 맡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즉 비임상 이전 데스밸리를 완화시키는데 주력키로 한 것. 정부가 기초연구 관련 사업 등을 직원하면서 사업화를 직접적으로 연계시키는 인프라 구축과 오픈 이노베이션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설명이다.

임 과장은 “미래부 출범 전 교과부의 특성상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제한된 과제 공고를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돼 산학 연계의 미흡함이 존재했다”며 “신규 연구분야의 발굴·기획 단계에 제약기업이나 병원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신규 과제 수행자를 선정할 때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산학 협력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것. 산업계 인사의 ‘과제 선정평가 참여 비율’도 기존 20% 수준에서 40%로 확대할 방침이라는 것.

아울러 미래부는 학계와 산업계의 단절된 고리를 잇기 위한 1:1 프로젝트 매니저 제도 등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기초연구의 성과를 사업화까지 이어가기 위한 협동체계 구축을 말한다. 일례로 연구를 수행한 대학교수 1명당 산업계 전문가 1명을 매칭하는 방식이다.

임 과장은 “이러한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애로사항은 예산문제라고 볼 수 있다”며 “다소 제한적인 예산이라도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올해는 미래부가 신약개발지원센터를 토대로 신약개발 기초연구에서 비임상 이전단계의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그 이후 과정은 복지부가 5개년 계획 등을 토대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대경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생명복지전문위원장(중앙대학교 약대 교수)은 “정부가 신약개발 분야를 국민보건과 국부창출이라는 중요한 국가적 아젠다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분야로 인식하고 연구개발 투자는 물론, 관련 인프라 구축과 생태계 조성에도 관심과 의지가 아주 강하다”면서 “그 단적인 예가 지난해 준공한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신약개발지원센터 등 핵심 관련 시설들”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신약 선진국에 비해 경험과 역사가 일천하지만 지난 수 십 년간 보여준 눈부신 개발 성과에 자신감을 갖고 글로벌시장 진출에 역량을 결집할 때가 왔다“면서 세계 어디에 내 놓아도 손색이 없는 연구개발 인력과 환경을 바탕으로, 이제는 산학연 개발주체 간, 부처·인프라 간, 전문가 간의 협력과 시너지 극대화 방안을 국가적 차원에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해외진출 시 다양한 해외시장의 특성과 수준을 세밀하게 분석해 첨단, 혁신 또는 범용 기술 등을 적절히 활용한 제품을 마케팅하는 보다 정교한 시장맞춤형 개발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