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최선재 기자] 팜뉴스는 지난 24일 "'처방 데이터' 분석하고 싶지만... 정작 제도는 '반쪽짜리'" 제하의 보도를 통해 심평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KPIS)가 '타사 제품' 급여 의약품 데이터에 대한 허들을 지나치게 높여 제약사들이 제도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KPIS 시스템 장벽 때문에 제약사들이 매년 수억원을 주고 민간 회사로부터 '타사 제품' 데이터(매출 실적)를 사들여왔다는 전언도 들린다. 심평원과 정부가 해당 제도를 방치한 결과, 제약사들이 시장 점유율 파악을 위해 값비싼 돈을 주고 민간 데이터를 구입해왔다는 얘기다. 

게티
게티

최근 기자와 만난 제약사 임원은 "KPIS를 통해 타사 제품의 매출 실적 데이터를 받을 수 없어 민간 정보 회사를 이용 중이다. 대부분의 제약사 현실이 그렇다"며 "민간 회사가 약국 또는 병원과 계약을 맺고 샘플링을 해서 통계 처리한 자료를 각 제약사에 판매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금액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제약사들은 주요 A사와 B사의 급여(처방) 의약품 매출 실적 데이터를 사들이고 있다. 신약 개발은 물론 제네릭 신제품 출시에 앞서, 시장 점유율 파악을 위해서다. 시장 점유율 파악뿐만 아니라 영업 마케팅에 영업 사원 평가에도 해당 데이터가 사용된다. 그야말로 '알짜' 데이터다. 

하지만 업계의 불만은 여기서 비롯된다. 심평원에서도 매출 실적을 제공하는데도 매년 민간 회사의 데이터를 이용하면서 불만이 누적된 셈이다. 

심평원 KPIS가 '타사 제품' 데이터에 대한 엄격한 동의 요건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입 장벽을 두텁게 세우지 않았다면 제약사들이 매년 돈을 주고 민간 회사로부터 급여 의약품 데이터를 구입할 필요조차 없다는 이유에서다. 

앞서의 임원은 "제도 자체가 '빚 좋은 개살구'로 설계됐다"며 "타사 제품 매출 등 데이터를 보려면 다른 제약사 제품에 대한 동의를 일일이 받아야 해서 제도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제약사들의 접근이 쉽도록 제도를 개선하면 더욱 정확한 처방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데 매년 회사들과 거래를 해야 하니 답답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단일 보험 체계이기 때문에 심평원 등 정부에 좋은 데이터가 쌓여있는데 제약사들은 왜 늘상 민간 회사 정보를 이용해야 하는가"라고 반문하면서 "우리는 더욱 질 좋은 서비스를 받고 싶다. 무작정 돈을 아끼고 싶은 것이 아니다. 정부가 민간 회사보다 많은 수수료를 제시해도 제약사들은 정부 데이터를 쓸 것이다. 더욱 정확한 현장 데이터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심평원 KPIS가 제약사를 대상으로 제공해온 '자사 제품' 급여 데이터(매출 실적 등)도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업계 관계자는 "보통 우리 회사 제품의 매출 실적을 확인하기 위해 심평원에 자사 제품에 대한 급여 데이터를 청구한다"며 "하지만 실제 필드(진료 현장)에서 약이 어떻게 쓰였는지 자세히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우리 약은 하루에 세 알을 복용해야 하는데 의료 현장에서는 쓰임새가 다를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환자 상태에 따라 두 알을 복용하거나 부작용 때문에 그 약을 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며 "그런데도 자사 제품 데이터는 매달 얼마나 약을 썼는지에 대한 숫자 정도만 제공한다. 이런 방식으론 환자 상태에 따라 약이 하루에 얼마나 처방됐는지 알 수 없다. 시장 점유율 파악이나 영업 마케팅을 진행할 수 없다"고 전했다.

결국 심평원 'KPIS 의약품 정보 제공' 제도상 '자사 제품'은 세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아 한계가 크고, '타사 제품'은 높은 허들 때문에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

더욱 큰 문제는 업계가 정부를 향해 KPIS 등 데이터 전반의 문제를 지적하면 "개인 정보 보호 때문에 공개할 수 없다"는 대답만 돌아온다는 점이다. 

앞서의 임원은 "보통 그런 답변을 듣지만 수긍은 가지 않는다"며 "정부가 정보 보안 영역을 발전시려는 노력을 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그런 고민 없이 부작용이 생긴다면서 전전긍긍하고, 데이터를 쌓아둔다.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심지어 국민 대부분은 병원에 갈 때마다 주민번호를 새로 쓰는데 정보가 보안된다고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다"며 "단말기마다 들어간 이후 어떻게 됐는지를 알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런 정보가 흔한데 이것보다 더욱 강화된 시스템에서 무조건 개인 정보를 이유로 안 된다고만 한다. 업계가 이해를 못하는 이유"이라고 덧붙였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