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19]제조ㆍ품목허가업 분리

연구중심 제약사 역할-보령제약

2006-03-25     팜뉴스


향후 10년 내 가파른 제약산업 재편

‘2A 전략’ 등 해외시장 진출 적극 모색

단기적 수익모델로 제네릭 개발 바람직

글로벌 경쟁력 확보차원서 신약개발 필수

단현광 보령제약 연구소장


2006년 현재 국내 제약회사는 약 300여개에 이르며, 50여개의 다국적기업이 국내에 진출해있다.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인 IMS Health에 따르면 2005년 한국 의약품 시장규모는 7조8천900억 원으로 2004년도의 6조8천860억 원에 비해 14.6% 성장했다고 한다.

이는 2004년도 성장률인 13.5%를 넘어선 것이다. 2003년도 시장 규모는 6조670억 원으로 전년대비 1.8% 증가에 그쳤던 것을 볼 때 국내 의약품 시장은 2004년을 기점으로 두 자릿수대의 고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자가 증가하면서 의료비 지출이 늘어나는 추세이고, 2000년 이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QOL 의약품이 급성장한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미 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선진국의 약효군 별 매출은 고지혈증 치료제, 고혈압치료제, 우울증치료제 등이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2010년 초까지는 이러한 약효군이 한국의약품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제약사, 제네릭 진출 성공적

한국 의약품시장에서 제네릭 의약품이 고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거대 단일 의약품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거대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만료가 증가하고 있다.

제네릭 제품은 시장을 잘 선택할 경우 매우 적은 개발비로도 상당의 규모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해당 기업의 마케팅 역량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보통 첫 3번째 제품까지는 성공적인 매출을 올리는 것이 업계의 통상적 경험이다. 현재 국내 제약회사들은 기존 국내 시장 규모가 큰 블록버스터 형 제품들에 대해 가장 먼저 제네릭 제품을 개발하여 출시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국내시장에서 이 전략은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제네릭 의약품은 신약과 비교하여 개발난이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제품개발에 있어 진입장벽이 낮아 업체들 간의 경쟁이 심하다. 이와 같이 경쟁이 심한 제네릭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대형 품목 위주에서 탈피, 가능성 있는 틈새 품목을 발굴하는 것도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마구잡이식 개발이 아닌 기존 주력 사업과의 시너지를 고려하여 전문성을 높이는 제품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2A 전략’ 등 해외시장 진출 박차

이와 더불어 협소한 국내 시장의 한계를 벗어나고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 해외진출을 위한 신약개발전략에 집중적인 투자를 기울이고 있다. 현재로서는 신약후보물질을 발굴한 후 외국의 거대 제약회사에게 개발권을 매각하여 그 제약회사가 임상시험, 승인, 마케팅을 담당하도록 하는 방법이 가장 실현가능성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 신약개발을 통해 해외시장에 진출하려는 우리나라 제약회사들의 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면 ‘2A 전략’으로 요약할 수 있다.

‘2A 전략’이란 후보물질을 발굴한 후 외국 제약회사에 라이선스할 때 2상 임상시험의 초기(2A)까지 완료한 후에 외국기업에 넘기는 전략을 간단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가장 좋은 계약을 할 수 있는 적정한 지점을 선택할 때 2A가 가장 최적의 지점이라 할 수 있는데 2상 임상시험에서는 환자에서의 효능 및 독성에 대한 테스트가 처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후보물질을 다른 회사에 넘기려는 기업에게는 2A에서 얻어진 결과가 협상의 좋은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해외시장 진출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도 있다. 공정혁신을 통해 기존의 원료 의약품을 싼 값에 해외 제약사에게 공급하는 것인데, 이 방식은 이미 많은 기업들이 시행하고 있는 방식이다. 많은 기업들이 자사 매출의 10~20% 내외를 이러한 원료의약품 수출로 채우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부가가치가 낮고, 중국이나 인도와 같은 나라들과 원가 경쟁에서 밀리기 때문에 향 후 중심적인 해외 진출 전략이 되기는 어렵다.

또 다른 해외 진출 방식은 제네릭 의약품을 가지고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것인데 신약개발력에서 다국적 기업들에 극히 열세인 국내 제약 기업들이 해외 선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좋은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네릭을 통해 선진시장에 본격 진출한 대표적인 사례로 자주 언급되는 것이 인도 제약기업들이다. 인도 제약기업들의 성공은 퍼스트 제네릭 개발 특화전략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