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드팩토, 육종 심포지엄서 백토서팁 연구 공유
김성진 대표 발표… 골육종 중심 임상 흐름 설명 ARMS·선천성 섬유육종 등 후속 연구 방향 논의
[팜뉴스=우정민 기자] 메드팩토가 지난 20일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제4회 육종 혁신연구 심포지엄(KINGS)에서 백토서팁(Vactosertib)의 골육종 연구 결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연구 흐름과 임상 진행 상황이 한 자리에서 공개되며 국내외 전문가들의 시선이 모였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립암센터 발전기금,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암센터 희귀암연구사업단이 지원하는 KINGS가 마련한 자리로, 육종 연구자들이 다양한 연구 내용을 공유하며 폭넓게 의견을 나누는 행사다. 메드팩토는 이 자리에서 백토서팁과 관련한 임상 경험을 소개하며 현재까지의 흐름을 설명했다.
행사에서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는 ‘육종의 암화 과정과 치료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육종에서 TGF-β 경로가 일반 고형암과 다르게 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일부 육종세포가 TGF-β 신호에 반응하지 않음에도 TGF-β1을 많이 분비해 종양 미세환경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특징은 치료 방향을 잡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자료를 근거로, 백토서팁 단독요법이 골육종 연구에서 관찰된 반응을 소개했다. 이어 유잉육종, 횡문근육종(ARMS), 선천적 섬유육종 등 여러 육종에서도 후속 연구를 이어갈 수 있다고 설명하며 연구 확장에 대한 논의를 함께 전했다. 행사에서는 국내 대형병원 교수진과 일본 국립암센터(NCCJ) 연구자들도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육종은 연골, 근육, 지방, 혈관, 신경 등 여러 연부 조직과 뼈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일반적인 상피세포 기원 암과 달리 간엽 조직에서 발생해 원인 규명과 치료 접근이 쉽지 않은 질환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다뤄진 연구 내용은 해당 질환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메드팩토는 최근 해외 학회에서 백토서팁의 골육종 대상 완전관해(CR) 사례를 포함한 임상 데이터를 공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회사는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국내외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확대해 후속 연구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