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산업협의회, '비대면진료의 미래' 기자간담회 개최
환자 만족도 97%·의사 92.7% "향후에도 참여 의향"…합리적 제도화 필요성 강조
[팜뉴스=김응민 기자] 원격의료산업협의회(공동회장 이슬·선재원, 이하 원산협)는 10일 서울 광화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비대면진료의 미래: 대국민 정책 수요조사 결과 발표 및 업계 정책 제언'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간담회는 '비대면진료 정책에 대한 만족도·개선 의견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민이 체감하는 비대면진료의 방향성과 정책 개선 요구를 공유하고 향후 법제화 과정에서 논의해야 할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이슬·선재원 공동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이동한 한국리서치 수석연구원의 조사 결과 발표, 주요 이사사 정책 제언,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비대면진료를 이용한 환자의 97.1%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시간 절약(95.7%) ▲의료 접근성 향상(94.5%) ▲대면진료 지연·포기 방지(93.5%) ▲의약품 접근성 개선(88.5%)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환자 91.5%가 "삶의 질이 향상됐다"고 답했으며, 88%는 "비대면진료 중단 시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고 응답했다.
향후에도 플랫폼을 활용해 비대면진료를 이용하겠다는 환자는 94.9%에 달했다. 의사의 73.5%, 약사의 56.2%가 비대면진료에 만족했으며, 각각 92.7%, 82.4%가 재참여 의향을 밝혔다.
대면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에서만 비대면진료를 허용하는 현행 규제에 대해서는 환자 61.1%, 의사 67.5%가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환자들은 ▲경증 질환도 초진을 거쳐야 하는 불필요한 대면진료 증가(69.8%) ▲의료기관 선택권 제한(64.8%) 등을 이유로 꼽았고, 의사들은 ▲의료 접근성 악화(73.5%) ▲이용 과정의 번거로움(67.6%) 등을 지적했다.
향후 법제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 과제로는 환자들이 ▲전 과목 비대면진료 허용(39%) ▲의약품 배송 허용(37.7%) ▲성분명 처방(35.1%)을, 의사들은 ▲의료사고 책임·보상 기준 마련(44.4%) ▲건강보험 수가체계 현실화(43%)를, 약사들은 ▲성분명 처방(64.9%) ▲대형 약국 쏠림 방지 장치 마련(47%) 등을 꼽았다.
이동한 한국리서치 수석연구원은 "이번 조사는 환자와 의료계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비대면진료의 효과와 개선 방향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데이터"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 닥터나우, 나만의닥터, 솔닥, 원스글로벌, 헥토이노베이션 등 원산협 주요 이사사 대표들은 '국민 경험과 수요에 기반한 비대면진료 법제화를 위한 정책 제언'을 발표했다.
정진웅 닥터나우 대표는 "비대면진료를 규제의 대상이 아니라 국민 편익을 높이는 의료 인프라로 인식하고 육성한다면, AI 헬스테크를 기반으로 국민이 더 안전하고 편리한 의료 서비스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재원 나만의닥터 대표는 "정책 설계의 출발점은 현장이어야 하며, 의료기관 비대면진료 상한제나 횟수 제한은 실제 현장에서 작동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호익 솔닥 대표는 "비대면진료는 의료 접근성 강화와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 이제는 지원과 투자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하 원스글로벌 대표는 "민관이 협력해 다제약물 데이터 분석, AI 기술 등을 접목한다면 비대면진료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요청했다.
안준규 헥토이노베이션 선임은 "비대면진료는 단순한 산업 이슈를 넘어 국민의 일상과 직결된 의료 혁신"이라며 "법제화는 국민의 삶을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만드는 기본권 차원에서 논의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슬 원산협 공동회장은 "비대면진료는 이미 국민이 선택한 의료 서비스"라며 "정부와 국회가 국민의 경험과 수요에 기반한 제도화를 추진한다면, 업계는 미래 의료 체계 완성을 위해 책임 있는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