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 美 글로벌 학회서 혁신 파이프라인 연구 성과 발표
ADC·비만·면역항암제 등 핵심 신약 후보 비임상 결과 공개
[팜뉴스=김응민 기자]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최근 미국에서 열린 주요 국제 학회에서 항암 및 대사질환 분야의 주요 파이프라인 연구 성과를 포스터 세션을 통해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2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World ADC 2025'에서는 항체-약물 접합체(ADC) 기반 항암 신약 후보물질 'CKD-703'의 비임상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CKD-703은 종근당이 독자 개발한 간세포성장인자 수용체(c-Met)를 타깃으로 하는 단일클론항체에 차세대 ADC 플랫폼 기술을 적용해 개발 중인 약물로,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기전을 지닌다.
지난 7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2a상 승인을 받아 비소세포폐암 및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 중이다.
비임상 연구에서 CKD-703은 ▲c-Met에 대한 높은 결합 특이성과 암세포 내 신속한 전달(internalization) 능력, ▲균일한 약물 결합 비율(DAR)과 향상된 혈중 안정성, ▲Fcγ 수용체 결합 최소화에 따른 내약성 개선, ▲다양한 c-Met 발현 모델에서 확인된 종양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CKD-703이 다양한 암종에서 정밀 표적 치료 옵션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4일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2025 미국비만학회(Obesity Week 2025)'에서는 경구용 GLP-1 수용체 작용제(GLP-1RA) 후보물질 'CKD-514'의 비임상 연구 성과가 발표됐다.
CKD-514는 용해도 개선을 통해 경구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킨 구조적 이점을 지닌 신약 후보로, 대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경구 생체이용률(Dog BA)을 보였다. 오포글리프론(Orforglipron) 대비 낮은 용량에서도 유의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며, 동일 용량 대비 혈당 강하 효과가 더 높게 확인됐다.
후속 화합물군 역시 오포글리프론 및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와의 비교 시험에서 동등하거나 우수한 대사 개선 효과를 보였다. 종근당은 복용 편의성이 높은 경구 제형 비만치료제 개발을 통해 주사형 치료제가 주류인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이어 7일 미국 메릴랜드에서 열린 '2025 미국면역항암학회(SITC 2025)'에서는 아데노신 A2A 수용체(A2AR) 길항제 후보물질 'CKD-512'의 비임상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CKD-512는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세포의 항종양 활성을 억제하는 아데노신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기전을 가진 면역항암제 후보로, 현재 국내에서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며 대만에서도 임상 승인을 받아 연구를 준비 중이다.
CKD-512는 ▲A2A 수용체에 대한 높은 결합 친화력과 지속성, ▲아데노신 농도가 높은 종양미세환경에서도 유지되는 면역세포 기능 회복, ▲T세포 활성 억제 신호인 phospho-CREB 발현 억제 및 면역세포 활성 증대를 통한 종양 내 면역 반응 강화, ▲면역관문억제제(ICI) 및 표준 항암치료와의 병용 시 강력한 항종양 시너지 효과 등에서 차별화된 약물학적 특성을 보였다.
종근당 관계자는 "ADC 항암제부터 비만치료제, 면역항암제까지 혁신 파이프라인의 경쟁력을 글로벌 무대에서 입증했다"며 "각 파이프라인의 비임상 성과와 차별화된 약물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혁신신약 개발을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